KSP국어문제연구소

  • 사미인곡(정철. 전문)-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6758] 이 작품은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정을 표현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대표적인 가사이다. 작가인 정철은 1585년(선조 18년)에 자신의 고향인 전남 창평에서 은거 생활을 하며 이 작품을 지었다.
    찜 0 구매 24 4,000원
  • 관동별곡(정철)-해설(전문) [I410-113-24-02-088186678] 이 작품은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과 관동 팔경을 두루 유람한 후 그 풍경과 자신의 소감을 읊은 노래이다.
    찜 0 구매 25 5,000원
  • 율리유곡(김광욱. 전문)-해설(202106, 고3 평가원) [I410-113-24-02-088186589] 이 작품은 인목 대비 폐모론으로 삭탈 관직된 작가가 인조반정으로 재출사할 때까지 약 8년 동안 한양 인근 지역인 율리에 머물면서 창작한 전체 17곡의 연시조로 『진본 청구영언』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속세를 잊고 자연 속에 묻혀 살면서 느끼는 유유자적한 삶에 대한 만족감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정치적 갈등 상황을 배경으로 하는 당대의 작품들이 정치 현실에 대한 긴장감이나 시름 등을 노래했던 것과 대비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찜 0 구매 5 4,000원
  • 탐진촌요(정약용. 5, 7)-해설 [I410-113-24-02-088186552] 탐진 촌요’는 ‘탐진 농가(耽津農家)’, ‘탐진 어가(耽津漁歌)’와 더불어 3부작(三部作)을 이루고 있다. ‘탐진 촌요’는 모두 15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실린 것은 그 중 두 수이다.
    찜 0 구매 6 1,500원
  • 고산별곡(장복겸. 전문)-해설(202303, 고3 기출) [I410-113-24-02-088186043] 장복겸의 문집인 『옥경헌유고』에 수록된 이 작품은 총 10수의 연시조이다. 청산, 녹수, 석양, 신월 등을 주요 소재로 삼아 시름을 잊고 자연과 더불어 소일하면서 한가롭게 지내는 상황이 제시되어 있다. 작가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정자인 ‘불고정’에서 노닐며 풍류를 즐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수>에서는 청산과 녹수가 어우러진 공간과 신월이 돋아나는 시간대를 설정하여 술을 앞에 둔 흥취를 드러내며 시름을 달래고 있다. <제4수>에서는 자연에 한거하려는 자신의 의지를 ‘남’과의 대립을 통해 부각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남’은 종장의 표현을 통해 ‘손’의 성격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즉 화자의 삶을 시종 지켜보며 그에 대해 온당한 판단을 내리는 이가 아니라, 화자의 삶의 한 단면이나 겉모습만을 살피면서 이에 대해 옳다 그르다 쉽게 판단하는 사람이다. 화자는 ‘남’을 ‘망령난’이라고 표현하며 자신의 삶을 옹호하고 있다. <제6수>에서는 풍류를 즐기는 수단인 술을 가장 적절한 시간에 가장 적절한 공간에서 마시겠다는 뜻을 표출하면서 ‘물’과 ‘뫼’ 및 ‘달’을 언급하고 있다. <제6수>에서는 어떠한 시름이나 갈등의 표출도 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생활에 만족하며 풍류를 즐기는 삶을 흥겹게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5 3,000원
  • 가시리(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완성) [I410-113-24-02-088185984] 이 작품은 이별의 상황에 놓인 화자의 슬픔, 원망 등의 정서를 진솔하게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1연에서는 반복되는 질문으로 임이 떠나려는 상황을 확인하고, 2연에서는 떠나가는 임에 대한 원망을 표출하고 있다. 3연에서는 붙잡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임을 보내는 체념의 정서를 드러내고, 4연에서는 다시 만나기를 바라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6 2,000원
  • 일신이 사쟈 하니(이정보, 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939] 이 작품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는 ‘무는 것’들을 장황하게 나열하여 세상살이의 어려움을 드러낸 사설시조이다. 무는 것들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이를 나열하여 화자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8 1,500원
  • 어져 내 일이야(황진이)-해설(2017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877] 이별로 인한 아쉬움과 후회를 절묘하게 드러낸 작품이다. 떠나는 임을 붙잡지 못한 아쉬움, 자기 스스로 임을 보낸 데 대한 후회가 ‘제 구야’라는 표현 속에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 감탄사와 부사어의 효과적 사용 등에서 우리말의 빼어난 구사가 돋보인다.
    찜 1 구매 8 1,500원
  • 만흥(漫興. 윤선도, 전문)-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797] 이 작품은 총 6수의 연시조로, 세속과 멀어져 자연 속에서 지내는 삶의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자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고도 한가로운 생활을 하면서 만족감과 흥취를 느끼고 있다.
    찜 0 구매 16 2,500원
  • 한림별곡(한림 제유)-해설(2017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742] (1,2,8장) 이 작품은 고려 고종 때 여러 유생들이 합작한 경기체가의 시초 작품이다. 기본 음률수가 3.3.4로서, 별곡체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句法)을 가지는 경기체가의 효시가 되었다. 모두 8장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韆)의 순서로 각각 1장씩을 읊어 당시 한림의 생활상을 묘사하였다.
    찜 0 구매 0 2,500원
  • 청산별곡(작자 미상)-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662] 이 작품은 고려 속요 중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악장가사』에 전문이 실려 있고, 『시용향악보』에는 1연과 곡조가 실려 있으나, 이러한 옛 문헌에서 작품에 대한 해설은 찾을 수 없다. 전체 8연의 형식으로, 연마다 후렴구가 붙어 있다. 정형적 율격, 시구의 반복, 울림소리의 반복적 사용으로 음악성이 두드러진다.
    찜 0 구매 12 3,000원
  • 찬기파랑가(충담사. 김완진 해독)-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411]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달, 물가, 수풀, 잣나무 등의 자연물을 통해 기파랑의 모습과 인품을 형상화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광명과 염원을 상징하는 달을 통해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을 부각하고 있다. 특히 잣나무는 고결하고 강직한 기파랑의 인품을 부각하는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련, 역경 등을 상징하는 눈과의 대비를 통해 기파랑이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직한 인물임을 드러내고 있다.
    찜 1 구매 21 2,000원
  • 찬기파랑가(충담사. 양주독 해독)-해설(2022학년도 수능완성) [I410-113-24-02-088185402]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예찬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기파랑의 모습이나 인품을 직접 묘사하는 대신 고도의 비유와 상징을 세련되게 사용하여 문학성이 높은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주술성이나 종교적 색채 없이 서정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달과 화자의 문답 방식을 통해 예찬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찜 0 구매 11 2,000원
  • 표해가(이방익)-해설(202111, 고1 기출) [I410-113-24-02-088185377] 이 작품은 고향 제주도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선인 7명과 함께 폭풍으로 표류하여, 대만과 중국 내륙지방, 北京(북경), 요동 벌판을 거쳐 고국으로 무사히 돌아오기까지의 고행담을 자세히 술회한 작품이다. 폭풍이 거세게 몰아치는 망망대해에서 일엽편주에 몸을 의지하여 생사의 갈림길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무사히 헤쳐 나옴으로써 굳세게 살아난 작자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는 훌륭한 해양문학 작품이다.
    찜 0 구매 11 2,500원
  • 해가(해가사. 작자 미상)-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359] 이 노래는 내용과 주제가 역시 『삼국유사』 기이편 끝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들어 있는「구지가(龜旨歌)」와 비슷하다. 그러나 「구지가」는 사구체로 되어 있고 이것은 팔구체로 되어 있으며, 내용도 이 「구지가」보다 구체적이다.
    찜 0 구매 1 1,500원
  • 구지가(작자 미상, 구간)-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313] 이 작품은 가락국의 시조인 수로왕의 탄생 신화에 삽입된 노래로, 4구체의 한역가(漢譯歌)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임금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백성들이 부른 노래로, 신에게 소원을 비는 주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땅을 두드리며 불렀다는 점을 고려하여 노동요로 보기도 한다.
    찜 0 구매 6 1,500원
  • 황조가(유리왕)-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288] 이 작품은 고구려 유리왕과 관련된 노래로 『삼국사기』에 4언 4구의 한시로 기록되어 있다. 선경후정의 구조 속에 세계와 화자 사이의 대칭적 균형을 이루고 있다. 행복한 꾀꼬리 한 쌍과 외로운 화자를 대비하면서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함께 돌아갈 사람이 없는 자신의 처지를 암수가 서로 정다운 ‘꾀꼬리’와 대비하여 슬픔과 외로움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찜 0 구매 8 2,000원
  • 정읍사(어느 행상인의 아내)-해설(2023학년도 수능완성) [I410-113-24-02-088185144] 이 작품은 현재 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로 알려져 있다. 행상을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달을 보며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에서 ‘달’은 기원의 대상으로 광명을 상징하며, ‘즌 데’는 어둠과 위험을 상징한다. 남편을 기다리는 여성 화자의 간절한 심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찜 0 구매 8 2,000원
  •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해설(2024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091] 백수 광부(흰머리를 풀어 헤친 미친 사람)의 아내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고조선의 노래이다. 원래 노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한역된 시가가 진나라 최표의 『고금주』에 설화와 함께 채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문인들이 『해동역사』, 『청구시초』 등에 옮겨 전하면서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 물’을 건너지 말라는 아내의 간절한 부탁을 무시하고 ‘그 물’을 건너다 세상을 떠나 버린 남편에 대한 애절한 마음이 잘 드러난다.
    찜 0 구매 10 2,000원
  • 제망매가(월명사, 김완진 해독)-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90]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대 승려 월명사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삼국유사』의기록에 따르면, 월명사가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불어 지전이 서쪽으로 날아갔다고 한다. 화자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해 촉발된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이별한 혈육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으며, 누이의 죽음을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잎에 비유함으로써 삶에 대한 무상감을 드러내고 있다.
    찜 1 구매 11 2,000원
  • 제망매가(월명사. 양주동 해독)-해설(2018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81]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일찍 죽은 누이를 추모한 노래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비유를 통해 깊이 다루고 있다. 일명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월명사가 죽은 여동생을 위하여 이 노래를 지어 제사지내니 갑자기 광풍이 지전(紙錢)을 날리어 서쪽으로 없어졌다고 한다.
    찜 0 구매 1 2,000원
  • 선인교 나린 물이(정도전)-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63] 이 작품은 조선개국 공신이 지은 시조로 고려 왕업의 무상함이 드러나지만, 애상에 빠지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태도도 드러난다. 청자를 설정하고 설의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0 1,500원
  • 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36] 이 작품은 황폐화된 고려의 옛 궁궐터를 보며 지은 시조로, 고려 멸망에 대한 무상감이 잘 드러나 있다. 뚜렷한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병치하여 무상감을 표현했으며, 화자가 스스로를 ‘객’으로 객관화하여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찜 0 구매 3 1,500원
  • 오백 년 도읍지를(길재)-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09] 이 작품은 고려의 옛 도읍지를 돌아보면서 느낀 감회를 노래한 시조로, 망국의 한과 안타까움이 잘 드러나 있다. 대구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영탄적인 어조를 통해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5 1,500원
  • 동동(작자 미상)-해설(2024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530] (생략 부분 수록)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로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전한다. 한해 열두 달의 순서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는 달거리 형식의 노래로, 열두 달 노래에 서사를 더해 총 13연으로 되어 있다. 1연인 서사는 임을 송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2~13연은 흘러가는 시간을 배경으로 임을 향한 사랑과 그리움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12 3,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