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언어와 매체-33문제(202206, 고3 평가원 기출, 변형) 음운은 단어의 뜻을 변별하는 데 사용되는 소리로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 예컨대 국어에서는 음운으로서 ‘ㅅ’과‘ㅆ’을구분하지만 영어에서는 구분하지 않는다. 음운이 실제로 발음되기 위해서는 발음의 최소 단위인 음절을 이뤄야 하는데 음절의 구조도 언어마다 다르다. 국어는 한 음절 내에서 모음 앞이나 뒤에 각각 최대 하나의 자음을 둘 수 있지만 영어는 ‘spring[spriŋ’처럼 한 음절 내에서 자음군이 형성될 수 있다.
    찜 0 구매 4 10,000원
  • 3-2. 한글 맞춤법-68문제(2015 개정 고등 금성 국어 대비) [I410-113-24-02-088184674]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은, 말 그대로 소리와 글자가 그대로 대응한다는 뜻입니다. ‘소리’를 따라 적는 것은 편합니다. 어법에 관한 지식이 없더라도 자기가 소리를 내는 대로, 들리는 대로 따라 적으면 그만이기 때문이지요.
    찜 1 구매 1 11,000원
  • 언어와 매체-33문제(202310, 고3 대비) (I410-ECN-0102-2023-000-002076935)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다른 말이 올 수 있는 말들의 관계를 결합 관계라 한다. 현대 국어의 의존 명사와 결합하는 선행 요소의 유형에는 관형사, 체언, 체언에 관형격 조사가 붙은 것, 용언의 관형사형 등이 있다.
    찜 0 구매 0 11,000원
  • (모의고사) 언어와 매체-33문제(202306, 고3 평가원 기출과 변형) ‘나의 살던 고향’은 ‘내가 살던 고향’과 같은 의미로 ‘나’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살던’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내는 특이한 구조이다. 이처럼 관형격 조사 ‘의’가 주격 조사처럼 해석되는 경우가 중세 국어에서도 확인된다. 예를 들어, ‘聖人의(聖人+의) 치샨 法[성인의 가르치신 법]’의 경우, ‘聖人’은 관형격 조사 ‘의’와 결합하고 있지만 후행하는 용언인 ‘  치샨’의 의미상 주어로 기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는 중세 국어 관형격 조사 결합 원칙의 예외에 해당한다.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평칭의 유정 체언에는 모음 조화에 따라 ‘/의’가, 무정 체언 또는 존칭의 유정 체언에는 ‘ㅅ’이 결합하는 원칙이 있었는데, ‘ㅅ’이 쓰일 자리에 ‘의’가 쓰였기 때문이다.
    찜 0 구매 4 11,000원
  • 언어와 매체-33문제(202304, 고3 기출 및 변형) 소리는 같으나 의미에 연관성이 없는 단어의 관계를 동음이의 관계라 하고, 이러한 관계를 가진 단어를 동음이의어라고 부른다. 동음이의어는 소리와 표기가 모두 같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리는 같고 표기가 다른 것도 있다. 전자를 동형 동음이의어, 후자를 이형 동음이의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신을 벗다.’의 ‘신’과 ‘신이 나다.’의 ‘신’은 동형 동음이의어이고 ‘걸음’과 ‘거름’은 이형 동음이의어이다.
    찜 0 구매 1 11,000원
  • 언어와 매체-33문제(202303, 고3 기출 및 변형) 준말은 본말 중 일부가 줄어들어 만들어진 말이다. 한글 맞춤법은 준말과 관련된 여러 규정을 담고 있는데, 그중 제34항에서는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어미 ‘-아/-어, -았-/-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 것을 다루고 있다. ‘(열매를) 따-+-아→따/*따아’, ‘따-+-았-+-다→땄다/*따았다’ 등이 그 예에 해당한다. 하지만 어간 끝 자음이 불규칙적으로 탈락되는 경우에는, 원래 자음이 있었음이 고려되어 ‘ㅏ, ㅓ’가 줄어들지 않는다. ‘(꿀물을) 젓-+-어→저어/*저’ 등이 그 예이다. 한편 제34항 [붙임1]에서는 어간 끝 모음 ‘ㅐ, ㅔ’ 뒤에 ‘-어, -었-’이 어울려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 것을 다루고 있다. 그렇지만 이때는 반드시 준 대로 적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손을) 떼-+-어→떼어/떼’에서 보듯이 본말과 준말 모두로 적을 수 있다. 다만 모음이 줄어들어서 ‘ㅐ’가 된 경우에는 ‘-어’가 결합하더라도 다시 줄어들지는 않는다. 예컨대 ‘차-’와 ‘-이-’의 모음이 줄어든 ‘채-’의 경우 ‘(발에) 채-+-어→채어/*채’에서 보듯이 모음이 다시 줄어들지 않는다.
    찜 0 구매 3 11,000원
  • 2022학년도 모의고사 45문제(20210301. 언어와 매체) 2021년 3월 고3 교육청 모의고사를 대비하여 EBS 수능특강 연계 교재와 관련된 작품을 포함하여 문학 17문제(4지문), 독서 3지문(17문제), 언어와 매체 11문제로 작업하였습니다. 난이도가 제법 있어서 문제 풀면서 짜릿한 쾌감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월 2회 문제를 제작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풀어보시고 너무 좋다고 하시면 자료 소감 남겨주세요~~ 1분을 선정하여 4월 모의 고사 1회를 메일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찜 0 구매 3 12,000원
  • (문법) 어휘, 어법-96문제(2015 금성 고등 국어) [I410-113-24-02-088183944] ‘적(的)’, ‘화(化)’, ‘성(性)’ 많이 써 뽐내려다 서투름만 드러나 (전략) ‘-적’ 못지않게 ‘-화’(化)도 많이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화’를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렇게 만들거나 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정의하는데, ‘기계화’, ‘대중화’, ‘도시화’, ‘자동화’, ‘전문화’ 등으로 쓰인다. 그런데 ‘화’는 그 자체가 ‘되다’란 뜻이다. 따라서 ‘기계화되다’, ‘대중화되다’란 표현은 ‘되다’를 중복 사용한 꼴로 잘못된 표현이라고 지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화하다’와 ‘-화되다’는 모두 표준국어사전에 등재된 옳은 표현이다. 단, ‘-화하다’는 목적어를 취하고, ‘-화되다’는 목적어 없이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화’도 너무 많이 쓰면 글의 흐름을 흐트러뜨리므로 주의해 써야 한다.
    찜 0 구매 0 13,000원
  • (언어) 종합-62문제(2025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변형) 2025학년도 수능특강 언어 종합 1-6까지의 기출과 변형 문제를 모았습니다. 내신 준비, 수능 준비에 좋습니다.
    찜 0 구매 1 15,000원
  • (언매 적용 학습) 언어 종합-60문제(2024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변형) 2024학년도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 교재 중에서 언어 종합 1~6까지 기출 문제와 변형 문제를 모았습니다. 더 자료가 필요하다면 음운, 단어, 품사, 문장, 담화, 국어사 등으로 검색해서 문제 모음을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찜 0 구매 12 15,000원
  • (문법) 문법 문제집(내용 정리와 문제) 고등학교 문법 과정 정리와 문제입니다. 자료 용량이 너무 커서 올릴 수가 없네요~~결재하시고 1:1 문의에 메일 주소 남겨주세요~ 메일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찜 0 구매 1 50,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