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우활가(정훈)-문제 모음 18제(2차. 202403, 고3 기출 변형) 이 몸 생겨남이 금수와 다르므로 애친경형*과 충군제장*을 내 분수 안의 일로만 여겼더니 ⓐ하나도 못 이루고 세월이 늦어지니 평생 우활은 날 따라 길어간다 아침이 부족한들 저녁을 근심하며 ㉠일간모옥(一間茅屋)이 비 새는 줄 알던가. 누더기 옷이 부끄러움 어이 알며 어리석고 미친 말이 남의 미움받을 줄 알던가. 우활도 우활할샤 그토록 우활할샤.
    찜 1 구매 26 7,000원
  • 곡구롱 우는 소리에(오경화)-문제 모음 13제(1차) 곡구롱(谷口哢)* 우는 소리에 낮잠 깨어 일어나 보니 작은아들 글 읽고 며늘아기 베 짜는데 어린 손자는 꽃놀이한다 마초아 지어미 술 거르며 맛보라고 하더라
    찜 0 구매 26 3,500원
  • 황조가(유리왕)-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3-24-02-088185297] 이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는 ‘꾀꼬리’인데, ‘꾀꼬리’는 암수가 정답게 노닐고 있어 화자의 외로운 처지와는 대조적이다. 따라서 ‘꾀꼬리’는 화자와 일치되는 감정을 지닌 소재가 아니라 대비를 통해 화자의 감정을 더욱 심화하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찜 0 구매 26 5,000원
  • 정과정(정서)-문제 모음 32제(2차) [I410-111-24-02-088581802] 이 노래는 ‘향가’는 아니지만 형식면에서 볼 때,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잇고 있다. 이 노래에서 ‘아소 님하’와 같은 여음구나 3단 구성은 모두 향가계 가요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형태상으로는 11행이지만 제8행과 9행을 묶어서 10구체 향가로 볼 수 있다.
    찜 1 구매 26 7,000원
  • 일동장유가(김인겸)-문제 모음 20제(1차) [I410-113-24-02-088018148] (2019학년도 수능특강 포함) 작자의 공정한 비판, 기발한 위트, 흐믓한 해학, 정확한 노정(路程)과 일시(日時)의 기록, 상세한 기상(氣象) 보고와 자연 환경의 묘사 등이 잘 나타나 있어서 기행문의 모범이라 할 만하다.
    찜 0 구매 26 5,000원
  • 국치비가(이정환)-19문제(모의 1차) 병자호란에서 패전한 후 소현세자와 봉림 대군 등이 청(淸)에 볼모로 잡혀간 일을 생각하던 화자가 한밤중에 꿈을 깨어 혼자 일어나 꿈속에서 먼 요양(遼陽) 땅에 계신 두 왕자를 알현한 이야기의 술회로 시작된다.
    찜 0 구매 26 5,000원
  • 강호사시가(맹사성)-문제 모음 20제(1차) 맹사성의 「강호사시가」에는 삶에 대한 여러 가지 태도가 나타나 있다. 기본적으로 자연을 벗하며 자연 속에서 만족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태도가 바탕이 된다. 또한, 세종이 다스리던 조선 초기의 정치적 안정 상황을 반영하여, 태평성대를 구가하고자 하는 사대부로서의 소망과 유교적 관념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찜 1 구매 25 5,000원
  • 방 안에 혓난 촉불(이개)-문제 모음 18제(1차) 방(房) 안에 켜 있는 촛불 누구와 이별(離別)하였기에 겉으로 눈물 흘리며 속 타는 줄 모르는가. 저 촛불 나와 같아서 속 타는 줄 모르도다.
    찜 2 구매 25 5,000원
  • 율리유곡(김광욱. 전문)-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3-24-02-088186598] 이 작품은 인목 대비 폐모론으로 삭탈관직된 작가가 인조반정으로 재출사할 때까지 약 8년 동안 한양 인근 지역인 율리에 머물면서 창작한 전체 17곡의 연시조로 『진본 청구영언』에 수록되어 있다.
    찜 0 구매 25 5,000원
  • 가시리(작자 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I410-113-24-02-088185993] 이 작품은 이별의 상황에 놓인 화자의 원망, 슬픔 등의 정서를 솔직한 언어로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1연에서는 반복되는 질문으로 임이 떠나려고 하는 상황을 확인하고, 2연에서는 가는 임에 대한 원망을 표출하고 있다.
    찜 0 구매 25 5,000원
  • 어부사시사(윤선도)-문제 모음 20제(1차) [I410-113-24-02-088185608] ‘어부사시사’는 사계절을 배경으로 자연에서 살아가는 어부의 흥취를 흥겨운 운율 속에 담아내고 있는 연시조이다. 이 작품은 시조의 기본 형식을 따르면서도 시상의 흐름과 작품의 분위기에 부합하는 여음구를 통해 운율감을 잘 살리고 있다.
    찜 0 구매 25 5,000원
  • 성산별곡(정철)-문제 모음 20제(1차) I410-ECN-0102-2023-000-001633009 이 작품은 조선 선조 때의 문인 정철이 당쟁으로 정계에서 물러나 전라남도에 있는 성산에서 살 때 김성원을 위하여 지었다 고 한다.
    찜 1 구매 25 5,000원
  • 말 없는 청산이오(성혼. 말 업슨 청산이오)-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1-24-02-088582247] 조선 중기의 학자로 이이와 깊은 교분을 나누었던 성혼의 작품이다. ‘병’으로 상징되는 세속적 삶과 ‘청산, 유수, 청풍, 명월’ 등으로 드러낸 자연의 모습을 대비하고, 자연 속에서의 근심 없는 삶을 노래하고 있다.
    찜 1 구매 25 5,000원
  • 연 심어 실을 뽑아(김영)-문제 모음 13제(1차) [I410-113-24-02-088610311] 연(蓮) 심어 실을 뽑아 긴 노끈 비비어 걸었다가 사랑이 그쳐갈 제 찬찬 감아 매오리다 우리는 마음으로 맺었으니 그칠 줄이 있으랴
    찜 0 구매 25 5,000원
  • 기녀반(허난설헌)-문제 모음 17제(1차) [I410-113-24-02-088611112] 예 놀던 길가에 초가집 짓고서 날마다 큰 강물을 바라만 본단다. 거울에 새긴 난새*는 혼자서 늙어 가고 꽃동산의 나비도 가을 신세란다.
    찜 1 구매 24 6,500원
  • 유산가(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조선 후기 한양과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불린 12잡가 중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봄의 아름다운 경치 완상과 유흥적 흥취를 노래한 작품이다.
    찜 0 구매 24 5,000원
  • 십 년을 경영하여(송순)-문제 모음 29제(1차, 내신 포함) 이 작품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풍류를 즐기는 작가의 삶을 노래하고 있다. ‘달’, ‘청풍’과 ‘나’가 초가 삼간 속에서 일체를 이루는 물아일체(物我一體)적 삶과 안분지족의 생활 태도에서 산수의 아름다움에 몰입된 참신한 멋을 느끼게 한다.​
    찜 1 구매 24 5,000원
  • 만언사(안조환)-문제 모음 23제(1차) 이 작품은 조선 정조 때 궁중에서 별감으로 일했던 작가가 자신의 잘못으로 추자도에 유배되어 유배지에서의 어려움과 자신의 삶에 대한 회상을 기록한 장편 가사이다. 자신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뉘우침을 솔직히 드러내고, 유배지에서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찜 0 구매 24 5,000원
  • (문학-가사) 덴동어미 화전가(작자 미상)-20문제(모의고사 1차) 전체적으로 액자식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전체 구조가 특이함. 청춘과부의 슬픔 토로에 대해서 덴동어미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보라며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시작한다. 덴동어미의 이야기를 들은 청춘과부가 삶의 이치를 깨닫고 화전놀이를 즐기면서 마무리가 된다. 결국 액자 밖은 현재 화전놀이와 청춘과부의 이야기이고, 액자 안은 덴동어미의 인생 이야기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이는 전체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액자 안의 이야기만 수능에 뽑아서 문제를 만든다면 이는 순행적 구성이 될 뿐 액자식 구성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배경지식을 쌓는 것은 좋으나 본문이 어느 부분인지도 모른채 무조건적인 암기는 문학에서 망하는 지름길이다.
    찜 1 구매 24 5,000원
  • 귀산음(신교)-문제 모음 16제(1차) (I410-ECN-0102-2023-000-001622584) 십 년 종사(從仕) 후에 고향으로 도라오니 산천의구(山川依舊)하되 인사(人事)난 달나셰라 아마다 세간존몰(世間存沒)*을 못내 슬허 하노라 <1수>
    찜 0 구매 23 5,000원
  • 북새곡(구강)-문제 모음 13제(1차) (I410-ECN-0102-2023-000-002077523) 헌 누더기 입은 무리가 남자인지 여자인지 어린 자식 등에 업고 자란 자식 손에 끌고 울면서 눈물 씻고 엎어지며 오는 모양 차마 보지 못할너라 나직이 묻는 말씀 어디로서 좇아오며 어디로 가려는고 주려들 가는 사람인가 가게 되면 얻어 먹나 아무 데도 한가지라 날 따라 도로 가면 자네 원님 가서 보고 안접(安接)*하게 하여줌세
    찜 0 구매 23 4,000원
  • 견흥(허난설헌)-문제 모음 9제(1차) 나에게 아름다운 비단 한 필이 있어 먼지를 털어 내면 맑은 윤이 났었죠. 봉황새 한 쌍이 마주 보게 수놓여 있 반짝이는 그 무늬가 정말 눈부셨지요. 여러 해 장롱 속에 간직하다가 오늘 아침 임에게 정표로 드립니다. 임의 바지 짓는 거야 아깝지 않지만 다른 여인 치맛감으론 주지 마세요.
    찜 0 구매 23 3,500원
  • 임이 혜오시매(송시열)-문제 모음 9제(1차) (수특 자료, 사랑이 거짓말이, 남은 다 쟈는 밤에와 중복됨) 임이 혜오시매 나는 전혀 믿었더니 날 사랑하던 정(情)을 누구에게 옮기신고 처음에 믜시던 것이면 이다지도 설우랴
    찜 0 구매 23 2,500원
  • 방물가(작자 미상)-문제 모음 22제(1차) 서방님‌ 정(情)‌ 떼고‌ 정(正)‌ 이별한대도‌ 날‌ 버리고‌ 못‌ 가리라. 금일‌ 송군(送君)‌ 임‌ 가는‌데‌ 백년‌소첩(百年小妾)‌ 나도‌ 가오.
    찜 0 구매 23 7,000원
  • 농가구장(위백규)-문제 모음 18제(2차) 이 작품은 작가가 시골에 은거하면서 농가의 일상을 사대부의 시각이 아닌 농부의 입장에서 노래하고 있는 전9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이다. 이 작품에는 농부의 생활과 농사일의 즐거움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농부의 입장에서 쓰였으므로 한자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주로 농촌에서 사용하는 일상어를 사용하고 있다.
    찜 0 구매 23 5,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