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3-24-02-088185108] 이 작품은 4언 4구로 되어 있는 고조선 시대의 노래이다. 중국의 고대 문헌에 먼저 소개되어 있고, 17세기 이후 우리나라의 문헌들에도 등장하고 있다. 머리를 풀어헤친 남자가 물을 건너다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내가 이 노래를 부르고 그 뒤를 따라갔다는 이야기가 함께 전해진다.
    찜 0 구매 40 5,000원
  • 제망매가(월명사)-문제 모음 23제(1차) [I410-113-24-02-088184807] <제망매가>는 10구체 향가로, 내용상 3단 구성(4-4-2)으로 나뉘어 시상이 전개된다. 1~4구에서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이, 5~8구에서는 삶의 무상함이, 9~10구에서는 인간적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종교적 극복 의지가 나타난다.
    찜 0 구매 40 5,500원
  • 매화사(안민영)-문제 모음 22제(1차) 「매화사」는 작가가 겨울 어느 날, 스승 박효관의 산방을 찾았을 때, 그 방 안에 놓인 매화를 보고 지은 작품이라고 전해진다.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매화를 보고 화자는 흥취를 느끼기도 하고 그 대상이 지닌 자태와 성품에 감탄하기도 한다.
    찜 0 구매 40 5,000원
  • 만흥(漫興. 윤선도)-문제 모음 24제(1차) [I410-113-24-02-088185804]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며 살아가는 흥겨운 삶을 노래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전체 6수로 된 연시조로, 병자호란 때(1642년, 56세) 왕을 호종(扈從,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고향인 해남 금쇄동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이다.
    찜 0 구매 40 6,000원
  • 관동별곡(정철)-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3-24-02-088186687] 이 작품은 송강 정철이 45세 되던 때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내·외·해금강과 관동 팔경을 유람한 후 그 여정의 아름다운 경치와 고사(故事), 풍속 등을 읊은 작품이다. 활달한 분위기, 낭만적인 서정이 넘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잘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40 5,000원
  • 만분가(조위)-문제 모음 18제(2차) 천상백옥경 십이루 어디인가 오색운 깊은 곳에 자청전이 가렸으니 천문 구만리를 꿈에라도 갈동 말동 차라리 죽어져서 억만 번 변화하여 남산 늦은 봄에 두견새 넋이 되어 이화 가지 위에 밤낮에 못 울면 삼청동 안에 저문 하늘 구름 되어 바람에 흩날려서 자미궁에 날아올라 옥황 향안 전에 지척에 나가 앉아 흉중에 쌓인 말씀 실컷 아뢰리라
    찜 0 구매 39 5,000원
  • 청초 우거진 골에(임제)-문제 모음 10제(1차) 청초(靑草) 우거진 골에 자느냐 누웠느냐 홍안(紅顔)을 어디 두고 백골(白骨)만 묻혔느냐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찜 1 구매 38 2,500원
  • 누항사(박인로)-문제 모음 19제(5차) 어리고 우활(迂闊)한 건 이내 위에 더는 없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늘에 부쳐 두고 누항(陋巷) 깊은 곳에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썩은 짚을 땔감 삼아 닷 홉 밥 서 홉 죽(粥)에 연기(煙氣)도 하도 할샤
    찜 0 구매 38 5,000원
  • 매화사(안민영)-문제 모음 21제(2차) 이 작품은 시조 시인인 작가가 1870년 겨울, 스승 박효관의 산방을 찾았을 때 책상 위에 놓인 매화를 보고 지은 연시조로 알려져 있다. <제1수>에서는 작품의 창작 배경을 제시하고 있고, 나머지 수에서는 매화를 의인화하여 눈 속에 핀 매화의 아름다운 자태와 우아한 풍치, 그리고 높은 절개를 예찬하고 있다.
    찜 0 구매 38 5,000원
  • 노계가(박인로)-문제 모음 19제(1차) (I410-ECN-0102-2023-000-001623349) 이 작품은 박인로가 만년에 경상도 영천의 노계에 머물면서 그곳의 아름다운 경치와 한가로운 생활을 읊은 가사이다. 말년에야 비로소 은거지를 개척하게 되는 감회를 시작으로 노계의 아름다운 경치를 예찬하고 그 속에서 자연에 몰입하는 삶의 흥취를 노래했다.
    찜 0 구매 38 5,000원
  • 까마귀(가마귀) 눈비 맞아(박팽년)-문제 모음 19제(1차) 가마귀 눈비 마자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夜光明月)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 향(向)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변할 줄이 이시랴.
    찜 0 구매 37 5,000원
  • 안민가(충담사)-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1-24-02-088581768] 군(君)은 어비여 신(臣)은 다자샬 어지여. 민(民)은 얼린 아해고 하샬디 민(民)이 다잘 알고다 구믈ㅅ다히 살손 물생(物生) 이흘 머기 다사라 이 따흘 바리곡 어듸 갈뎌 있디 나라악 디니디 알고다.
    찜 0 구매 37 5,000원
  • 찬기파랑가(충담사)-문제 모음 44제(2차. 서술형 포함) [I410-113-24-02-088185457] 고결한 인품을 지닌 기파랑을 추모하며 그리워하고 찬양하는 개인적 정서를 표현하여,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고 노래가 유행가처럼 사람 입으로 퍼져 유행하였다.​
    찜 1 구매 37 10,000원
  • 서경별곡(작자 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I410-111-24-02-088581875] 임과 이별을 하게 되면 질삼뵈(길쌈하던 베)마저 버리고 좇아가겠다는 말로 이별에 임하는 화자의 적극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찜 0 구매 37 5,000원
  • 님이 오마하거늘(작자 미상)-22문제 모음(1차) 이 작품은 그리운 임을 빨리 만나고 싶어 하는 진솔한 마음을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보여 주고 있는 사설시조이다. 임이 온다는 소식을 들은 화자는 중문을 나서고 대문에 나가 지방 위에 치달아 앉아 임이 오는지 바라본다.
    찜 0 구매 36 5,000원
  • 저곡전가팔곡(이휘일)-문제 모음 21제(1차) 이 시는 모두 8연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시조로서 향촌에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찜 0 구매 36 5,000원
  • 동동(작자 미상)-문제 모음 27제(1차) [I410-113-24-02-088184549] ‘동동’에서는 대부분의 연들이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데에 비해, 1연은 송도(頌禱)의 의미가 두드러져서 정서의 흐름이 이질적이다. 또한, 다른 연에서는 첫 구절 다음에 감탄사가 나타나지만 1연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형식적 이질성도 발견된다.
    찜 1 구매 36 6,000원
  • 집방석(짚방석) 내지 마라(한호)-문제 모음 16제(1차) 짚방석(方席) 내지 마라 낙엽(落葉)엔들 못 앉으랴 솔불 켜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이야 박주산채(薄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찜 0 구매 35 4,000원
  • 황계사(작자 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일조(一朝) 낭군 이별 후에 소식조차 돈절하야* 자네 일정(一定) 못 오던가 무슨 일로 아니 오더냐 이 아해야 말 듣소 황혼 저문 날에 개가 짖어 못 오는가 이 아해야 말 듣소 춘수(春水)가 만사택(滿四澤)하니* 물이 깊어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하운(夏雲)이 다기봉(多奇峰)하니* 산이 높아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찜 0 구매 35 5,000원
  • 모죽지랑가(득오)-문제 모음 21제(1차) 이 작품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시대 8구체의 향가로, 화랑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가 죽지랑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작품의 창작 시기가 죽지랑 생존 시기인지, 사후인지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일연은 이 작품을 기록하여 죽지랑의 고귀한 인품을 드러내려 한 것으로 보인다.
    찜 0 구매 35 5,000원
  • 한거십팔곡(권호문)-문제 모음 20제(1차) 벼슬길에 나가 임금을 섬기는 삶과 은거하여 자연을 즐기는 삶 사이의 고민을 드러낸 뒤, 강호를 즐기며 살아가는 삶을 선택한 사대부의 심회를 술회하는 총 19수의 연시조 작품이다.
    찜 1 구매 35 5,000원
  • 고공답주인가(이원익)-문제 모음 18제(1차) '게으르고 헤아림 없는 종'은 나라일에 태만한 신하, 곧 허전이 <고공가>에서 비난한 바 있는 그런 부류의 신하들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고, '마누라'는 선조를, '어른 종'은 작자 자신을 포함한 당대의 고관들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즉, 조선의 백성이 천하에 으뜸인데, '드난 종' 곧 벼슬을 하기도 하고 물러나기도 하는 신하들이 텃밭을 묵혀 놓은 채, 밥만 먹고 정자 아래서 낮잠만 자느냐고 하면서 그들의 태만을 꾸짖는다. 그 다음, '소 먹이는 아이들' 곧 지방 관청의 이속들이 '마름' 곧 지방 관청의 수령들을 능욕하니, 한 집 곧 나라의 숱한 일들을 할 자가 없음을 탄식한다.
    찜 0 구매 34 5,000원
  • 헌화가(어느 노인)-문제 모음 21제(1차) 이 작품은 탐미적인 미녀 앞에서 노옹이 애정을 읊조린 서정시로 신라인의 미의식을 나타내주고 있다. 꽃을 향한 수로부인의 정서와 미인 수로부인을 향한 노옹의 정서의 대조가 미의 상징일 수 있는 꽃에 수렴되기 때문이다.
    찜 1 구매 34 4,500원
  • 두암육가(김약련)-문제 모음 17제(1차) 어져 내 일이야 무슨 일 하다 하고 굳은 이 다 빠지고 검던 털이 희었네 어우와 소장불노력하고 노대에 도상비로다 <제1수>
    찜 0 구매 34 6,500원
  • 말은 가자 울고(미상), 임 이별 하올 적에(안민영), 뒤뜰에 봄이 깊으니(미상), 청천에 떠서 울고 가는(미상)-문제 모음 11제(2024 수능특강 문학 대비) 말은 가자 울고 임은 잡고 울고 석양은 ㉠재를 넘고 갈 길은 천리로다 저 임아 가는 날 잡지 말고 지는 해를 잡아라
    찜 1 구매 33 4,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