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산민(김창협)-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을 보여 주는 한시이다. 백성들이 편안한 평지에서의 삶을 포기하고 이웃도 없는 산골에서 외로운 삶을 살게 된 원인, 그리고 먹을 것도 구하기 힘들어 고달픈 삶을 살게 된 원인이 모두 가혹한 수탈을 일삼는 관리들 때문이라는 것을 산골에 사는 아낙의 목소리를 통해 고발하고 있다.
    찜 0 구매 7 2,000원
  • 신고산 타령(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함경도 지역의 노래로 ‘어랑 타령’으로도 불린다. 가사의 내용으로 볼 때, 기차역이 세워지는 20세기 초에 유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작품 제목 중 ‘신고산’은 경원선 기차역의 이름이다. 신문명이 들어오면서 생활이 달라지고 시골 사람들의 마음이 들떠 있는 모습을 그려 내고 있다.
    찜 0 구매 4 2,000원
  • 본조 아리랑(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우리나라의 전통 민요인 ‘아리랑’을 근간으로 형성된 신민요로, ‘아리랑 타령’이라고도 불린다. 구한말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역사적 사건들이 가사에 반영되어 있어 적층 시기를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찜 0 구매 4 2,000원
  • 서경별곡(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1866] 이 작품은 여성적 목소리로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가요이다. 1연에서는 삶의 터전인 서경을 버리고서라도 임을 따라가겠다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2연에서는 천 년을 혼자 살아도 변치 않을 임에 대한 사랑과 믿음을 ‘끈’에 빗대어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13 2,000원
  • 제망매가(월명사, 김완진 해독)-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90]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대 승려 월명사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삼국유사』의기록에 따르면, 월명사가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불어 지전이 서쪽으로 날아갔다고 한다. 화자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해 촉발된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이별한 혈육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으며, 누이의 죽음을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잎에 비유함으로써 삶에 대한 무상감을 드러내고 있다.
    찜 1 구매 11 2,000원
  • 찬기파랑가(충담사. 김완진 해독)-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411]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달, 물가, 수풀, 잣나무 등의 자연물을 통해 기파랑의 모습과 인품을 형상화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광명과 염원을 상징하는 달을 통해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을 부각하고 있다. 특히 잣나무는 고결하고 강직한 기파랑의 인품을 부각하는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련, 역경 등을 상징하는 눈과의 대비를 통해 기파랑이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직한 인물임을 드러내고 있다.
    찜 1 구매 21 2,000원
  • 착빙행(김창협)-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611550] 이 작품은 엄동설한에 얼음을 채취하는 노동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참상과 무더위 속에서 얼음을 즐기는 양반들의 모습을 대조하여 고통 받는 백성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이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고통 받는 백성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도소녀(이규보)-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작가가 다양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어린 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그로 인한 슬픔을 형상화하고 있는 한시이다.
    찜 0 구매 0 2,000원
  • 남당사(작자 미상)-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남당 물가에 우리 집이 있거늘 무슨 까닭으로 다산초당에 머무는고? 낭군이 기거하시던 곳 그 자취를 느끼고 싶어서요.
    찜 0 구매 0 2,000원
  • 관등가(작자 미상)-해설(201910. 고3) 이 글은 ‘정월 상원일’, ‘사월 초파일’ 같은 각 달의 절일(세시 풍속의 명절)을 기준으로 세시 풍속을 소개하면서 부재하는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찜 0 구매 6 2,000원
  • 원왕생가(광덕)-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10구체의 향가이다. 아미타불에게 의지하여 서방정토로 가려는 소망을 달을 통해 전하려 하는 노래로, 불교적 내세관을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4 2,000원
  • 원산 아리랑(신고산 타령. 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함경도 원산 지방에서 불리는 노래로, ‘신고산 타령’이라고도 한다. ‘신고산’은 경원선의 한 기차역 이름으로, 가사에는 서양 문물이 들어온 이후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어 1900년대 이후에 널리 불린 것으로 보인다.
    찜 0 구매 0 2,000원
  • 밀양 아리랑(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정선 아리랑」, 「진도 아리랑」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아리랑 중 하나로, 사랑하는 사람을 대하는 애틋한 정서가 비유법, 대구법, 반복법 등의 다양한 표현법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남과탄(南瓜歎. 정약용)-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일상적 사건을 통해 현실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끼닛거리가 떨어져서 호박을 훔친 계집종을 꾸짖고 있는 아내에게 화를 풀라고 말하면서, 생계를 이어 나가기 어려운 처지에 대한 자조의 목소리를 내뱉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견여탄(정약용)-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정약용이 지은 60행의 한시로, 참신한 제재와 표현을 통해 백성들의 괴로운 삶과 그러한 삶에 무감각해진 집권층의 잘못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이별요(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임과의 이별에 한탄하는 모습을 담은 민요이다. 화자는 다시 돌아오지 못할 곳으로 가 버린 임을 그리워하며 자신 역시 임이 떠난 곳으로 따라가고 싶다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강호구가(나위소)-해설(201803, 고3) 「강호구가」는 나위소가 관직에서 물러난 뒤 고향인 나주에 돌아와 영산강을 배경으로 지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나이가 들어 벼슬에서 물러난 처지에서 성은(聖恩)의 감격을 드러내며,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소박하게 살아가는 어부의 생활을 노래하였다.
    찜 0 구매 2 2,000원
  • 산민(김창협)-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외진 산골의 인가를 배경으로 하여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는 한시이다. 이웃도 없이 외로움과 가난을 견디고 있는 이유가 수탈을 일삼는 무서운 고을 관리들 때문이라는 것을 드러내며 어려운 처지에 놓인 백성들에 대한 동정을 드러냄과 동시에 관리들의 횡포를 고발하고 있다.
    찜 0 구매 1 2,000원
  • 논매기 노래(작자 미상)-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충청북도 영동 지방에서 불린 민요로 농민들이 논에서 김을 앨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선소리꾼이 먼저 노래를 부르면 다른 사람들이 후렴구를 부르는 선후창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민중의 소박한 삶뿐만 아니라 힘들고 고된 농사일에서 즐거움을 느꼈던 선인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정선 아리랑(작자 미상)-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정선 아라리」로도 불리는, 강원도 전 지역에 걸쳐 있는 토속 민요이다. 이 작품은 창작층이 넓게 퍼져 있으며, 가사 또한 풍부한 편이다. 특히 노랫말은 매우 생산적이어서 기존의 것들을 참고하기도 하나 현장 상황에 따라 다수의 창작자가 즉흥적으로 만들어 내기도 한다.
    찜 0 구매 2 2,000원
  • 야청도의성(양태사)-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1848] 이 작품은 발해의 사신으로 일본에 간 작가가 타국에서 우연히 들은 ‘다듬이질 소리’를 제재로 하여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한시이다.
    찜 0 구매 1 2,000원
  • 농가(위백규)-해설(2022학년도 수능 기출) 농가의 생활과 농사일의 즐거움을 진솔하게 노래함으로써 농부들의 생활상이나 생활 감정을 잘 드러낸 총 9수의 연시조이다. 이 작품은 한자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농촌의 일상어를 사용하여 노동의 풍경과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유대하고 협력하는 모습, 밥상 앞에서 잔을 들고 흥겨워하는 모습 등을 그려내고 있다.
    찜 0 구매 9 2,000원
  • 재 위에 우뚝 선 소나무(작자 미상)-해설(2021년 9월 고3 평가원 기출) 이 작품은 임을 그리워하며 슬퍼하는 화자가 자신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형상화한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소나무와 버들의 흔들거리는 모습과 임이 그리워 우는 자신의 모습에서 동질성을 발견하며 이별의 슬픔을 확인하면서도 자신의 외양을 우스운 모습으로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찜 0 구매 1 2,000원
  • 도산십이곡(이황)-해설(202109, 고2 기출) 「도산십이곡」은 <언지> 여섯 수와 <언학> 여섯 수로 이루어진 연시조로서, 창작 의도를 밝힌 발문(跋文)이 함께 전해진다. <언지>에는 자연 속에 살며 인간의 선한 본성을 회복하기를 바라는 뜻이, <언학>에는 선한 본성 회복을 위해 학문에 힘쓰겠다는 의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발문에는 이황이 이 작품을 우리말로 지어 제자들이 노래로 부르며 향유하게 하여, 지향할 만한 삶의 방식과 바람직한 가치를 마음에 새기게 하려는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있었음이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5 2,000원
  • 매화사(안민영)-해설(202109, 고1 기출) 조선 고종 때 안민영이 지은 전 8수의 연시조로, 작가의 개인 가집인 『금옥총부』에 수록되어 있다. 작가 가 1870년 겨울에 스승인 박효관의 운애산방(雲崖山房)에서 벗과 더불어 놀 때, 박효관이 가꾼 매화가 책상 위에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지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영매가’ 혹은 ‘영매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화를 의인화하여 매화의 지조, 절개, 생명력 등을 예찬하고 있다.
    찜 1 구매 15 2,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