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연 심어 실을 뽑아(김영)-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318] 이 작품은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평시조로, 화자는 연을 심어 실을 뽑고 그 실로 노끈을 비비어 걸었다가 임과의 사랑이 그쳐 갈 때 노끈으로 그 사랑을 감아 매겠다고 말하며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임과 자신은 마음으로 맺어졌기에 둘 사이의 사랑이 그칠 리가 없다고 말하는 모습에서 이러한 화자의 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찜 0 구매 11 1,500원
  • 대천 바다 한가운데(작자 미상)-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283] 이 작품은 세상에 허무맹랑한 거짓말들이 나돌고 있는 현실을 풍자하며,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 말고 현명하게 대처할 것을 임에게 간절히 요청하는 내용을 담은 사설시조이다. 상식적으로 성립되지 않는 말의 허위성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한 점, ‘온 놈이 온 말을 하여도 임이 짐작하소서’라는 관습적 표현을 사용한 점이 주요 특징이다.
    찜 0 구매 9 1,500원
  • 구름이(구룸이) 무심탄 말이(이존오)-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210] 이 작품은 고려 말의 문신(文臣) 이존오가 간신 승려 신돈이 나라를 어지럽게 만드는 상황을 풍자한 평시조이다. 시조의 소재 중 ‘구름’은 신돈을, ‘날빛’은 왕의 선정을 비유한 것으로 왕이 베푸는 선정을 신돈이 방해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찜 0 구매 8 1,500원
  • 오륜가(작자 미상. 경기체가)-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201]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로 『악장가사』에 기록되어 전한다. 궁중 음악으로 연행되었으며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사이고, 나머지 5개의 장은 오륜을 하나씩 다룬다(부자유친 → 군신유의 → 부부유별 → 장유유서 → 붕우유신). 이 글에 실린 부분은 제2장으로 효(孝)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8 1,500원
  • 오관산(문충)-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194] 문충이 지은 「목계가」라는 노래를 고려 말의 문인인 이제현이 한문으로 번역한 것으로, 그의 문집인 『익재난고』에 기록되어 전한다. 실현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한 다음, 그 상황이 실현되었을 때 비로소 어머니가 늙으실 것이라고 말하며 어머니가 늙지 않기를 바라는 화자의 간절한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은 오관산 밑에 살면서 어머니를 극진히 모시던 문충이 어머니가 늙으시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지었다고 한다. 원 노래의 제목이 ‘목계가’인 이유는 노랫말에 나무로 깎아 만든 닭, 즉 목계(木鷄)가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제현이 「목계가」의 일부를 한문으로 번역하면서 제목을 ‘오관산’으로 고친 것은, 과거 효자와 관련한 글이나 노래에 그 효자가 살던 곳의 지명을 사용해 제목을 붙이는 관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찜 0 구매 9 1,500원
  • 사모곡(작자 미상)-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185]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로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기록되어 전하며, 어머니가 자식에게 베풀어 주는 사랑에 대한 예찬과 감사의 마음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자식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각각 호미와 낫에 비유하여,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섬세하고 깊음을 나타낸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고려 가요의 특징인 3음보의 율격과 후렴구가 나타나지만 고려 가요의 일반적 형태와 달리 한 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렴구를 제외하면 시조와 형태가 비슷하며, 마지막 행 첫머리의 ‘아소 님이시여’라는 감탄 어구는 10구체 향가의 낙구와 유사하다.
    찜 0 구매 8 2,000원
  • 반월(이양연)-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176] 이 작품은 조선 중기의 이양연이 지은 한시로 칠언 절구에 해당한다. 푸른 밤하늘에 걸린 달과 옥거울의 형태적 관련성에 주목하고 있다. 하늘에 반달이 뜨고, 물속에도 반달이 들어 있는 풍경을 두고 복비와 직년 사이의 다툼 때문에 달이 나누어진 것이라고 연상한 것이 특징이다.
    찜 0 구매 7 1,500원
  • 해산 바가지(박완서)-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096] 이 작품은 아들과 딸을 구분하지 않고 태어난 손주들을 경건하게 맞이하는 시어머니의 모습을 통해 생명 존중 사상을 환기하면서, 남아 선호 사상의 세태를 비판하고 있는 소설이다. 또한 치매에 걸린 시어머니의 부양 문제로 갈등하던 ‘나’가 ‘해산 바가지’를 통해 시어머니의 생명 존중 의식을 환기하여 자신을 성찰하는 모습에서 우리 사회가 겪는 노인 소외에 대한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찜 0 구매 5 3,000원
  • 백초를 다 심어도(작자 미상)-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078] 이 작품은 언어유희의 효과를 살려서 이별의 아픔을 그려 낸 시조이다. 대나무로 만드는 도구인 젓대와 살대, 붓대의 기능을 이별 상황에 연결하였다. 피리를 불면 소리가 나는 것을 운다고 하고, 화살을 쏘면 날아가는 것을 간다고 하였으며,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임을) 그리워하는 것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별 상황에서의 그리움을 은근히 표현하였다. 시적 발상 면에서 해학성을 품고 있는 작품이다.
    찜 0 구매 4 1,500원
  • 백구야 놀라지 마라(김천택, 미상)-해설(2025학년도 수능특강) [I410-111-24-02-088582041] 이 작품은 임금에게 버림받은 한 신하가 강호로 들어가 백구(갈매기)와 더불어 놀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시조이다. 초장에서 백구를 불러들인 다음 중장에서는 자신의 사연을 드러내고, 종장에서는 백구와 더불어 놀겠다는 의지를 밝힌다. 강호가도 계열의 작품으로서 작가가 표시되지 않은 채 수록된 가집도 있다.
    찜 0 구매 6 1,500원
  • 한림별곡(한림 제유)-해설(2017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5742] (1,2,8장) 이 작품은 고려 고종 때 여러 유생들이 합작한 경기체가의 시초 작품이다. 기본 음률수가 3.3.4로서, 별곡체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句法)을 가지는 경기체가의 효시가 되었다. 모두 8장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韆)의 순서로 각각 1장씩을 읊어 당시 한림의 생활상을 묘사하였다.
    찜 0 구매 0 2,500원
  • 어떤 기쁨(고은)-해설 [I410-113-24-02-088185475] 이 시는 고독과 절망에 사로잡힌 현대인들을 관계론적 사유를 통해 위로하고 있는 작품이다. 화자는 세계의 한가운데에서 자신이 고립되어 있다고 느끼면서 비탄과 절망에 빠진 사람들에게 인간 존재가 결코 고독한 개인이 아님을, 인간은 무수한 관계와 인연으로 연결되어 있는 존재임을 일깨우고 있다. 전체 4연으로 구성된 이 시는 이면에 함축적 의미를 거의 갖고 있지 않다.
    찜 0 구매 0 2,000원
  • 기(旗. 고은)-해설 [I410-113-24-02-088185466] 이 시는 부정적 현실에 단호히 저항하자는 화자의 의지가 드러난 시이다. 힘겨운 현실 속에서 나약한 민중들이 각개격파 당하지 말고 힘을 합쳐 단일한 대오를 형성하여 하나의 깃발 아래 힘을 모아, 어둠을 극복하자고 강하게 권유하고 있다. 그 어둠을 극복하는 쾌감을 느낄 수 있도록 꿋꿋하게 흔들리지 말고 어둠이 사라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저항 의지를 불태우길 강조하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자작나무 숲으로 가서(고은)-해설(201709, 고2) [I410-113-24-02-088185260] 이 시는 시인 고은이 등산하던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으로, 충청도 진천의 광혜원에 있는 칠현산 기슭에 서 자작나무 숲을 보며 깨달은 내용을 형상화하고 있다. 자작나무가 앙상하게 헐벗은 모습을 보며 화자는 이 나무들이 ‘세상을 정직하게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연이어서 ‘슬픔’, ‘울음’, ‘우리나라의 여자’를 떠올린다. 그러다 이러한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자작나무를 아름답게 느끼며 화자는 자신을 정화시키며 진실된 마음으로 가득하게 살아가려는 다짐을 한다. 그리하여, ‘나뭇짐 지게’를 무겁게 지고 싶다고 고백하며 ‘어린 시절에 이 미 늙어 버린’ 자신을 새로 태어나게 해야 한다고 고백한다. 결국 화자는 광혜원으로 내려가는 편하고 쉬운 길을 포기하고 ‘삭풍의 칠현산 험한 길로’ 서슴없이 지향한다.
    찜 0 구매 0 2,000원
  • 화살(고은)-해설 [I410-113-24-02-088185242] 이 작품은 민주화를 향한 결연한 의지를 화살에 비유하여 형상화한, 군사 독재에 몸으로 맞서 싸웠던 시인의 민주화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여 주는 작품이다. 시적 화자는 ‘가진 것’, ‘누린 것’, ‘쌓은 것’마저 흔쾌히 버리고 날아가 돌아오지 않는 화살처럼 ‘가서는 돌아오지 말자’라고 반복해서 외치고 있다. 날아가 돌아오지 않는 화살처럼 ‘가서는 돌아오지 말자’고 반복해서 외침으로써 목숨까지 바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표출한다.
    찜 0 구매 0 2,000원
  • 제망매가(월명사. 양주동 해독)-해설(2018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781]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일찍 죽은 누이를 추모한 노래로, 삶과 죽음의 문제를 비유를 통해 깊이 다루고 있다. 일명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월명사가 죽은 여동생을 위하여 이 노래를 지어 제사지내니 갑자기 광풍이 지전(紙錢)을 날리어 서쪽으로 없어졌다고 한다.
    찜 0 구매 1 2,000원
  • 사씨남정기(김만중. 사씨 남해, 한림 유배)-해설(2018학년도 수능 기출) [I410-113-24-02-088184414] 왕비가 웃으며 말했다. “부인이 이곳에 오긴 오겠지만 아직 때가 멀었소. 남해 도인이 그대와 인연이 있으니 잠깐 의탁하게 될 것이오. 이 또한 하늘의 뜻이니라.” 사 씨가 여쭈었다. “남해라면 바다 끝으로 알고 있사옵니다. 첩에게는 탈 것이 없고 돈도 없는데 어찌 갈 수 있겠나이까?” 왕비가 말했다. “조만간 길을 인도하는 자가 있을 것이니 조금도 염려 마라.” 이윽고 좌우에 앉아 있는 부인들을 하나하나 소개했다. 위국 부인 장강*, 한나라의 반첩여* 등이 있었다. 사 씨가 다소곳이 일어나 머리를 조아리고 말했다. “뜻밖에도 모든 부인님의 얼굴을 오늘 뵙게 되니 크나큰 영광입니다.”
    찜 0 구매 0 3,000원
  • 성묘(고은)-해설 [I410-113-24-02-088184138] 이 시는 분단에 대한 참담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남북통일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노래한 작품이다. 화자는 아버지의 무덤 앞에서 아직 남북통일이 되지 않은 현실을 알리고 있다. 화자의 아버지는 일제 시대 소금 장수를 하며 전국을 돌며 소금을 팔았다. 그런 아버지가 다시 남북을 돌면서 소금을 팔 수 있도록 남북통일이 되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찜 0 구매 0 2,000원
  • 선제리 아낙네들(고은)-해설 [I410-113-24-02-088184101] 이 시의 제목을 보면 두 가지 정보를 암시하고 있다. 첫째는 이 시의 공간적 배경이 ‘선제리’라는 마을이고, 둘째는 이 시의 중심이 되는 시적 대상이 ‘아낙네들’이라는 점이다. 이 시의 이해와 감상의 포인트는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시상을 전개할 때 감각적 이미지, 그 중에서도 청각적 이미지를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찜 0 구매 0 2,000원
  • 머슴 대길이(고은)-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058] 이 작품의 시적 대상인 ‘대길’은 작가가 유년 시절에 인연을 맺었던 실존 인물이다. 작가가 서당에 다닐 무렵 이웃 새터 마을에 아버지와 결의형제를 맺은 이통년이라는 사람의 집에 자주 놀러 가게 되었고, 저녁 무렵이면 동네 총각들이나 머슴들이 자주 들락거리는 사랑방을 기웃대다가 그 집에서 일하던 대길이라는 이름의 머슴과 친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대길'과 같은 머슴은 우리 사회의 소외받고 박해받는 계층에 속하는 인물로, 소외된 삶을 이겨 나가려는 민족적인 삶, 민중적인 삶의 원초적인 모습으로서의 전형성을 지닌다.
    찜 0 구매 0 2,000원
  • 눈길(고은)-해설(2017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184021] 이 시는 오랜 방황 끝에 돌아와 느끼는 마음의 평화로운 상태를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다. 여기서 시 전체를 관통하는 이미지인 ‘눈’은 화자가 바라보는 외적 풍경일 뿐만 아니라 화자의 내적인 마음 상태를 나타낸다. 명상적이고 관조적인 어조와 정적인 분위기를 바탕으로 삶에 대한 성찰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문의 마을에 가서(고은)-해설 [I410-113-24-02-088184003] 이 시는 작자가 그의 동료 시인인 신동문의 모친상을 접하여 충북 청원군에 있는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장례식을 주관한 사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인이 직접 호상(護喪)이 되어 장례 절차를 주관하였는데, 시인은 거기서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었다. 흔히 죽음은 절망이나 공포, 비애 등의 격렬한 감정과 어울려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시에서는 죽음마저도 친근한 것이 되고 있다. 그 친근성은 인간의 삶에 대한 경건함을 동반하여 나타나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안화설(채제공)-해설(202311, 고2 기출) [I410-113-24-02-088183800] 이 글은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임금이 유념해야 할 교훈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고전 수필이다. 관찰사의 행동 하나로 인해 관할 지역의 수장들이 아첨하는 행위를 하는 이유를 알게 되고 나서 임금에게 아첨하는 자들의 부정적 영향으로 나라가 망할 수도 있음을 알리며 임금의 현명한 통치를 요청하고 있다.
    찜 0 구매 0 2,500원
  • 탐라별곡(정언유)-해설(202311, 고2 기출) [I410-113-24-02-088183784] 이 작품은 1750년(영조 26) 제주목사로 부임한 작가가 제주의 역사와 풍물을 담아 지은 기행 가사이다. 이 가사는 크게 제주의 역사·지리적 특성과 목사 부임 과정(기)─제주 백성들의 생활상(승)─한라산의 풍경 감상과 여흥(전)─감회(결)의 4단계로 시상이 전개된다. 작품은 열악한 자연환경 속에서 세금과 진상품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생활상을 드러내고 이들을 위로하고자 한 작가의 실학적·현실주의적 세계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찜 0 구매 0 3,000원
  • 감나무(함민복)-해설(202311, 고2 기출) [I410-113-24-02-088183748] 이 작품은 감나무의 생태를 관찰하고, 올바른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 시에서 자연은 인간의 삶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드러내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이 시에서도 화자는 순환적 질서를 따르는 존재로 형상화된 감나무를 통해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고, 이상을 추구하면서 자신을 엄격히 다스리는 삶의 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