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언어) 국어사-12문제(2025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변형) [I410-113-24-02-088609872] 중세 국어 시기에는 주로 소리 나는 대로 표기를 하였다. 그래서 연음이 일어나면 이어 적기(연철)를 하고, 음운 변동이 일어나면 음운 변동의 결과를 표기에 반영하였다. 예컨대, 중세 국어 시기에도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났는데, ‘님 나코(따님 낳고)’의 ‘나코’처럼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 대로 표기하였다. 중세 국어 시기의 이러한 표기법의 원리를 이해하면,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음의 중세 국어 자료를 탐구해 보자.
    찜 0 구매 1 3,000원
  • (문법) 어휘, 어법-96문제(2015 금성 고등 국어) [I410-113-24-02-088183944] ‘적(的)’, ‘화(化)’, ‘성(性)’ 많이 써 뽐내려다 서투름만 드러나 (전략) ‘-적’ 못지않게 ‘-화’(化)도 많이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화’를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렇게 만들거나 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정의하는데, ‘기계화’, ‘대중화’, ‘도시화’, ‘자동화’, ‘전문화’ 등으로 쓰인다. 그런데 ‘화’는 그 자체가 ‘되다’란 뜻이다. 따라서 ‘기계화되다’, ‘대중화되다’란 표현은 ‘되다’를 중복 사용한 꼴로 잘못된 표현이라고 지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화하다’와 ‘-화되다’는 모두 표준국어사전에 등재된 옳은 표현이다. 단, ‘-화하다’는 목적어를 취하고, ‘-화되다’는 목적어 없이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화’도 너무 많이 쓰면 글의 흐름을 흐트러뜨리므로 주의해 써야 한다.
    찜 0 구매 0 13,000원
  • 문법-15문제(202311, 고1 대비) (I410-113-24-02-088005365)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이다. 이는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을 밝히는 조항으로, 한글 맞춤법은 이 조항에 따라 표준어를 표음 문자인 한글로 올바르게 적는 방법이다. 먼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는 원칙은 한글 맞춤법이 표준어를 대상으로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그리고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은 표준어를 적을 때 발음에 따라 적는다는 뜻이다. 이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은 음소를 조합하여 다양한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낼 수 있는 표음 문자인 한글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원칙이다. 이를테면 [나무]라고 소리 나는 표준어는 ‘ㄴ’과 ‘ㅏ’로 조합된 한 음절과 ‘ㅁ’과 ‘ㅜ’로 조합된 한 음절을 그대로 ‘나무’로 적는 것이다.
    찜 0 구매 0 5,000원
  • (모의고사) 문법-15문제(202309, 고2 대비) I410-ECN-0102-2023-000-001633498 선어말 어미는 어말 어미 앞에 오는 어미이다. 단어의 끝에 오는 어말 어미는 용언의 어간과 더불어 단어를 이루므로 활용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용언의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오는 선어말 어미는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고 ㉡하나가 오는 경우도 있으며 ㉢두 개 이상 연달아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찜 0 구매 3 5,000원
  • (모의고사) 언어와 매체-33문제(202306, 고3 평가원 기출과 변형) ‘나의 살던 고향’은 ‘내가 살던 고향’과 같은 의미로 ‘나’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살던’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내는 특이한 구조이다. 이처럼 관형격 조사 ‘의’가 주격 조사처럼 해석되는 경우가 중세 국어에서도 확인된다. 예를 들어, ‘聖人의(聖人+의) 치샨 法[성인의 가르치신 법]’의 경우, ‘聖人’은 관형격 조사 ‘의’와 결합하고 있지만 후행하는 용언인 ‘  치샨’의 의미상 주어로 기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는 중세 국어 관형격 조사 결합 원칙의 예외에 해당한다.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평칭의 유정 체언에는 모음 조화에 따라 ‘/의’가, 무정 체언 또는 존칭의 유정 체언에는 ‘ㅅ’이 결합하는 원칙이 있었는데, ‘ㅅ’이 쓰일 자리에 ‘의’가 쓰였기 때문이다.
    찜 0 구매 4 11,000원
  • (모의고사) 문법-15문제(202306, 고2 기출 및 변형) ‘품사’는 공통된 성질이 있는 단어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갈래를 뜻하고, ‘문장 성분’은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를 뜻한다. 관형사는 체언인 명사, 대명사, 수사 앞에서 해당 체언을 꾸며 주는 품사이고, 관형어는 체언을 꾸며 주는 문장 성분이므로, 서로 문법 단위가 다르다. 그런데 관형사나 관형어는 이름과 그 기능이 서로 유사하여, 둘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관형사는 단어의 성질 자체가 체언의 수식에 있고, 문장 성분으로는 관형어의 기능을 한다. 하지만 관형어는 관형사로만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관형사 이외에도 체언과 관형격 조사의 결합, 용언의 어간과 관형사형 어미의 결합, 체언 자체로도 관형어로 쓰일 수 있다.
    찜 0 구매 3 5,000원
  • (언매 적용 학습) 언어 종합-60문제(2024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변형) 2024학년도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 교재 중에서 언어 종합 1~6까지 기출 문제와 변형 문제를 모았습니다. 더 자료가 필요하다면 음운, 단어, 품사, 문장, 담화, 국어사 등으로 검색해서 문제 모음을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찜 0 구매 12 15,000원
  • 국어사(노걸대언해, 번역노걸대)-30문제(1차, 내신, 모의고사 기출) 너는 고려 사람인데 또 어찌 중국말을 잘 하는가? 내가 중국 사람에게 글을 배웠으니 이런 까닭으로 조금 중국말을 아노라. 너 누구에게 글을 배우는가 내 학당에서 글 배우라. 너 무슨 글을 배우느냐? 논어, 맹자, 소학을 읽으라. 너 매일 무슨 공부하느냐
    찜 0 구매 2 8,000원
  • (문법) 중세 국어(품사-조사)-20문제(모의고사 모음 2차) 현대 국어와 중세 국어는 문법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데, 격 조사의 차이도 그중 하나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주격 조사로 ‘이/가’를, 목적격 조사로 ‘을/를’을, 관형격 조사로 ‘의’를 사용하고 있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음운 환경에 따라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관형격 조사가 오늘날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찜 1 구매 9 5,000원
  • (문법) 품사-조사(중세 국어)-21문제(모의고사 문제 모음 1차)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선행 체언과 음운 조건에 따라 ‘ᄋᆡ’, ‘의’, ‘ㅅ’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었으며, 간혹 ‘ㅣ’와 같은 형태가 나타나기도 했다. ‘ᄋᆡ’는 선행 체언이 존경의 대상이 아닌 유정 명사이면서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양성 모음일 때 결합되었고, ‘의’는 선행 체언이 존경의 대상이 아니면서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음성 모음일 때 결합되었으며, ‘ㅅ’은 선행 체언이 존경의 대상이거나 무정 명사일 때 결합하였다. 모음으로 끝나는 일부 체언에는 ‘ㅣ’가 결합하는 형태가 나타나기도 했다.
    찜 2 구매 7 5,000원
  • 문법-10문제(202209, 고1 기출과 변형) 언어학자인 소쉬르는 ‘시간은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언어라고 해서 이 보편 법칙을 벗어날 리가 없다.’라고 했다. 이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변화하기도 하는데 이를 언어의 특성 중 역사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언어의 역사성을 의미와 형태 측면에서 살펴보자.
    찜 1 구매 5 2,500원
  • 문법-10문제(202209. 고2 기출, 변형) 주어가 스스로 동작이나 행위를 하는 것을 능동이라 하고, 주어가 다른 대상에 의해 동작이나 행위를 당하게 되는 것을 피동이라 한다. 능동문이 피동문으로 바뀔 때 능동문의 주어는 피동문의 부사어가 되고, 능동문의 목적어는 피동문의 주어가 된다.
    찜 1 구매 2 2,500원
  • 문법 유형 정리-20문제(2023학년도 EBS 수완 유형 기출, 변형) 2023학년도 수능완성 유형편의 문제와 변형 문제를 모았습니다. 음운부터 국어사까지 골고루 출제되었습니다. 문법 부분이 약하다 생각하면 한 번 풀어보세요~~
    찜 0 구매 0 4,000원
  • (문법) 국어사-문제 모음 30제(11차) 15세기 국어에는 유성 마찰음 ‘ㅸ, ㅿ, ㅇ’이 존재했다. 국어는 성대의 울림에 의해서만 자음이 대립되는 경우가 마찰음 계열을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성 마찰음은 국어사의 측면에서 특이한 부류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다른 자음에 비해 빠르게 변화하였다.
    찜 2 구매 4 7,500원
  • (언어와 매체) 문법 전체-20문제(2023 수특 언어 종합 4, 5 기출, 변형) 2023학년도 수능특강 언어 종합 4, 5에 대한 자료입니다. 기출 문제와 변형 문제를 모았습니다.
    찜 0 구매 0 5,000원
  • (문법) 국어사(석보상절)-문제 모음 20제(1차) 왕이 이르시되 “대사 하신 일 아니면 누가 한 것입니까?” 선인이 아뢰되 “대왕이시여, 이 남굴의 선인이 한 딸을 길러내니 모습이 단정하여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기가) 쉽지 못하니 그 딸 움직일 시절에 자취마다 연꽃이 납니다.”
    찜 1 구매 6 5,000원
  • (언어와 매체) 언어 9(국어사)-12문제(2023 수능특강 기출, 변형) 중세 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연결 어미가 결합하지 않은 채 어간들만이 어근으로 쓰인 비통사적 합성어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오리다 › 오르내리다’처럼 ㉠음운 규칙이나 표기의 변화만 입은 채 현대 국어로 이어진 경우도 있지만, ‘여위시들다’가 ‘여위고 시들다’와 같은 구(句)로 바뀐 것처럼 ㉡합성어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구로만 표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찜 1 구매 7 3,000원
  • 문법-10문제(202203, 고2 기출, 변형) 높임 표현은 높임의 대상에 따라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으로 나뉜다. 주체 높임은 서술의 주체, 곧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주체 높임은 선어말 어미 ‘-(으)시-’나 주격 조사 ‘께서’, 특수 어휘 ‘잡수다’, ‘계시다’ 등을 통해 실현된다.
    찜 0 구매 4 2,500원
  • 9-2. 우리말의 담화 관습-30문제(2015 비상 박영민) 오늘 이분과의 만남을 매우 많은 분들이 기대하시고, 또 기다리셨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어떤 화려한 수식어보다, 그냥 이름 석 자로 소개해 드리는 게 이분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 아닐까 싶은데요.
    찜 0 구매 1 4,500원
  • 9-2. 우리말의 담화 관습-21문제(2015 비상 박영민) 김 선생은 담소를 즐겨 하였다. 그가 일찍이 벗의 집을 찾아간 적이 있었다. 주인은 술상을 내오되 안주는 단지 채소뿐이라며 먼저 사과부터 하는 것이었다. “집은 가난하고 시장마저 멀다네. 맛있는 음식일랑 전혀 없고 담박한 것뿐이네. 그저 부끄러울 따름일세.”
    찜 0 구매 1 3,000원
  • 9-1. 국어의 어제와 오늘-23문제(2105 비상 박영민) 훈민정음은 모두 28자로서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초성은 모두 열일곱 자이다.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 ‘ㄴ’은 혀(끝)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떴다. ‘ㅁ’은 입 모양을 본떴다. ‘ㅅ’은 이 모양을 본떴다.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찜 0 구매 3 3,500원
  • 9-1. 국어의 어제와 오늘-22문제(2105 비상 박영민) 이번 시간에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오늘날 세계 속에서 한국어의 위상을 알아보려고 해요. 이를 바탕으로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으면 좋겠어요.
    찜 0 구매 4 3,000원
  • 9-1. 국어의 어제와 오늘-20문제(2105 비상 박영민) 다음 자료는 ‘세종어제훈민정음’의 ‘어지(御旨)’예요. ‘어지’는 훈민정음, 즉 한글을 창제한 세종 대왕이 한글 창제의 목적과 정신을 직접 밝힌 글로, ‘어제 서문(御製序文)’이라고도 합니다. 국어의 역사를 구분할 때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시기를 ‘중세’라고 하는데, 이 ‘세종어제훈민정음’은 중세 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입니다. 그럼 ‘어지’를 살펴보면서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본격적으로 알아보죠.
    찜 0 구매 5 3,000원
  • (문법-근대 국어) 을병연행록(홍대용)-15문제(내신, 모의고사 기출 모음) 저 구들 위에 누운 사람이 누구냐? 주인이 말하기를 같이 온 사람이 병이 들어 누웠다 하거늘 내가 묻기를 무슨 병이냐 하니
    찜 0 구매 7 3,000원
  • (문법) 중세 국어(소학언해-효, 벗)-20문제(내신 1차) 몸이며 얼굴이며 머리털이며 살은 부모께 받은 것이라, 감히 헐게 하여 상하게 하지 아니함이 효도의 시작이고 / 정직한 이를 벗하며, 신실한 이를 벗하며, 들은 것이 많은 이를 벗하면 유익하고, 거동만 익은 이를 벗하며, 아첨하기 잘 하는 이를 벗하며, 말씀만 익은 이를 벗하면 해로우니라.
    찜 1 구매 67 4,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