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제망매가(월명사)-문제 모음 20제(2차) [I410-113-24-02-088184816] <제망매가>는 10구체 향가로, 내용상 3단 구성(4-4-2)으로 나뉘어 시상이 전개된다. 1~4구에서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이, 5~8구에서는 삶의 무상함이, 9~10구에서는 인간적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종교적 극복 의지가 나타난다.
    찜 0 구매 16 5,000원
  • 속미인곡(정철)-문제 모음 22제(5차) [I410-111-24-02-088581400] 이 작품에서 을녀는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는 중추적 역할을 한다. 갑녀의 질문에 응하여 신세 한탄을 하며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작가의 처지를 대변하는 중심 화자이기도 하다.
    찜 0 구매 16 5,000원
  • 원생원(김삿갓)-문제 모음 8제(1차) 해 뜨자 원숭이가 언덕에 나타나고 고양이 지나가자 쥐가 다 죽네 황혼이 되자 모기가 처마에 이르고 밤 되자 벼룩이 자리에서 쏘아 대네
    찜 0 구매 15 3,000원
  •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주는 시(여수장우중문시. 을지문덕)-문제 모음 20제(1차) [I410-113-24-02-088183855]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 오묘한 계산은 땅의 이치를 꿰뚫었도다. 그대 전쟁에 이겨 이미 공이 높으니 만족함을 알고 그만두기를 바라노라.
    찜 0 구매 15 5,000원
  • 어부단가(이현보)-문제 모음 15제(3차) (2023학년도 수능특강, 2022년 9월 평가원 기출, 변형 문제 포함) 이 중에 시름없으니 어부(漁父)의 생애로다 일엽편주를 만경파(萬頃波)에 띄워 두고 인세(人世)를 다 잊었거니 날 가는 줄을 아는가 <제1수> 굽어보면 천심 녹수 돌아보니 만첩 청산 십장 홍진(十丈紅塵)이 얼마나 가렸는가 강호에 월백(月白)하거든 더욱 무심(無心)하여라 <제2수>
    찜 0 구매 15 4,000원
  • 남은 다 쟈는 밤에(송이)-문제 모음 18제(1차) 남은 다 자는 밤에 내 어이 홀로 앉아 전전불매(輾轉不寐)하고 임 둔 임을 생각는고 차라리 내 먼저 싀어서 제 그리게 하리라
    찜 0 구매 15 5,000원
  • 상춘곡(정극인)-문제 모음 18제(6차) (2023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포함) 준중(樽中)이 비었거든 날다려 아뢰어라 소동(小童) 아해더러 주가(酒家)에 술을 물어 어른은 막대 짚고 아해는 술을 메고 미음완보(微吟緩步)하야 시냇가에 혼자 앉아
    찜 0 구매 15 5,000원
  • 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문제 모음 18제(1차) [I410-113-24-02-088184745] 흥망(興亡)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쳤으니 석양(夕陽)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찜 0 구매 15 5,000원
  • 오륜가(작자 미상. 경기체가)-문제 모음 16제(1차) [I410-113-24-02-088609532] 조선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로 『악장가사』에 기록되어 전한다. 궁중 음악으로 연행되었으며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사이고, 나머지 5개의 장은 오륜을 하나씩 다룬다
    찜 0 구매 15 7,000원
  • 선상탄(박인로)-문제 모음 22제(2차) 이 작품은 전쟁 가사의 대표적 작품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부산에 통주사로 부임한 작가의 상황과 심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왜적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 우국충정의 마음을 드러내고, 설분신원할 것을 다짐하며 기개와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찜 0 구매 15 5,000원
  • 어옹(설장수)-문제 모음 21제(1차) 헛된 명예 이루려 조급하게 살지 않고 不爲浮名役役忙 평생 동안 수운향*을 좇으며 살아가네 生涯追逐水雲鄕 넓은 호수에 봄은 따사로워 안개가 천리에 퍼지고 平湖春暖煙千里 예스런 언덕에 가을은 높아 달이 한 척의 배로구나 古岸秋高月一航
    찜 0 구매 14 6,500원
  • 꿈에 다니난 길이(이명한)-문제 모음 15제(1차) 꿈에 다니는 길이 자취가 남는다면 님의 집 창(窓) 밖에 석로(石路)라도 닳으리라 꿈길이 자취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찜 2 구매 14 4,000원
  • 습수요(이달)-문제 모음 13제(1차) 밭고랑에서 이삭 줍는 시골 아이의 말이 하루 종일 동서로 다녀도 바구니가 안 찬다네 올해에는 벼 베는 사람들도 교묘해져서 이삭 하나 남기지 않고 관가 창고에 바쳤다네.
    찜 0 구매 14 4,000원
  • 어이 못 오던가(어이 못 오던다)-문제 모음 18제(2차) 어이 못 오던다 무삼 일로 못 오던다 너 오난 길 우희 무쇠로 성(城)을 싸고 성 안헤 담 싸고 담 안헤란 집을 짓고 집 안헤란 두지 노코 두지 안헤 궤를 노코
    찜 0 구매 14 5,000원
  • 서경별곡(작자 미상)-44문제(3차. 서술형 포함) [I410-111-24-02-088581919]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데 아즐가 닷곤 데 쇼셩경 고외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찜 1 구매 14 10,000원
  • 원왕생가(광덕)-문제 모음 20제(1차) 달하 이뎨 서방(西方)까장 가샤리고 무량수불(無量壽佛) 전(前)에 닏곰다가 삶고샤셔 다딤 기프샨 존(尊)어헤 울워러 두 손 모도호살바
    찜 0 구매 14 5,000원
  • 산민(김창협)-문제 모음 19제(1차) 말에 내려 인가를 찾아가 보니 아낙네 문간에 나와 맞이하네. 띠집 처마 아래 손을 앉게 하고 나를 위해 밥과 반찬 내어 오네.
    찜 0 구매 14 5,000원
  • 가마귀 검다 하고(작자 미상. 이직)-문제 모음 10제(1차) 이 작품은 검은 까마귀를 비웃는 하얀 백로에 초점을 둔다. 겉과 속, 외양과 심성, 가문과 개인 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백로의 비웃음을 통해 드러낸다. 이처럼 화자의 냉소적 관찰을 통해 겉만 보고 남을 성급하게 평가하기보다는 자신을 먼저 성찰하라는 화자의 의도가 검은 까마귀와 하얀 백로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찜 2 구매 14 2,500원
  • 도산십이곡(이황)-문제 모음 21제(3차) 이런들 어떠하며 져런들 어떠하랴 초야우생*이 이러타 어떠하랴 하믈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엇하랴
    찜 0 구매 14 5,000원
  • 논밭 갈아 기음매고(미상)-문제 모음 19제(1차) 이 작품은 하루 일과를 마치고 휴식을 취한 후, 해 질 녘에 노래를 부르며 집에 돌아가는 농부의 모습을 그린 사설시조이다. 작중 인물은 분주한 일상 속에서도 여유로움과 흥겨움을 잃지 않고 있다. 작중 인물의 하루 일과가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시되고 있다.
    찜 0 구매 14 5,000원
  • 사미인곡(정철)-46문제(4차. 서술형 포함) [I410-113-24-02-088186794] 이 작품은 정철이 자신의 고향인 전라남도 창평에 은거할 때 지은 가사이다.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노래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찜 0 구매 14 11,000원
  • 만언사(안도환, 안조환)-문제 모음 21제(2차) 이 작품은 조선 정조 때 궁중에서 별감으로 일했던 작가가 자신의 잘못으로 추자도에 유배되어 유배지에서의 어려움과 자신의 삶에 대한 회상을 기록한 장편 가사이다. 자신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뉘우침을 솔직히 드러내고, 유배지에서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찜 0 구매 14 5,000원
  • 사미인곡(정철)-문제 모음 20제(3차) [I410-113-24-02-088186785] 이 노래의 서정적 자아는 임금을 향하는 절실한 마음을 여성적 목소리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 화자의 목소리는 우리 시가 문학의 오랜 전통을 이은 것으로 고려 속요나 기녀들의 시조에서 많이 나타난다. 버림받은 신하가 임금의 은총을 기원하는 뜻을 담은 시가에서 여성을 화자로 설정하는 이유는 시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더욱 절실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찜 0 구매 14 5,000원
  • 고산구곡가(이이)-문제 모음 21제(2차) I410-ECN-0102-2023-000-001633867 이 작품은 이이가 벼슬에서 물러나 황해도 해주 고산 석담에 정사를 짓고 제자들을 모아 가르치며 후진 양성에 전념할 때 지은 연시조이다. 송나라 주자의 「무이도가」를 본뜬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 10수로 이루어진 연시조로, 자연 풍경에 대한 묘사를 중시하여 각 연마다 풍경을 담아 노래하였다.
    찜 0 구매 14 5,000원
  • 백구야 놀라지 마라(김천택)-문제 모음 10제(1차) [I410-111-24-02-088583235] 백구(白鷗)야 놀라지 마라 너 잡을 내 아니로다 성상(聖上)*이 버리시니 갈 곳 없어 예 왔노라 이제는 찾을 이 없으니 너를 좇아 놀리라
    찜 1 구매 13 4,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