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만흥(漫興. 윤선도)-문제 모음 20제(2차) [I410-113-24-02-088185813]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며 살아가는 흥겨운 삶을 노래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전체 6수로 된 연시조로, 병자호란 때(1642년, 56세) 왕을 호종(扈從,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고향인 해남 금쇄동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이다.
    찜 0 구매 19 5,000원
  • (문학-고시조) 농가구장(위백규)-21문제(모의고사 1차) 이 작품은 농민들의 실제적인 삶의 현장인 농촌을 시적 공간으로 설정하여 농민의 삶을 그린 연시조이다. 전원(田園)을 건강한 노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보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농업 노동을 민중적 생활에 밀착하여 형상화함으로써 기존 사대부의 작품과는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찜 1 구매 19 5,000원
  • 명월음(최현)-문제 모음 26제(1차) 달아 밝은 달아 청천(靑天)에 떴는 달아 얼굴은 언제 나며 밝기는 뉘 시켰나 서산에 해 숨고 긴 밤이 침침한 때 청렴(靑奮)*을 열어 놓고 보경(寶鏡)을 닦아 내니 일편 광휘(一片光w)에 팔방이 다 밝았다 하룻밤 찬바람에 눈이 온가 서리 온가 어이 한 건곤(乾神)이 백옥경(白玉京)이 되었는가
    찜 1 구매 18 7,000원
  • 표해가(이방익)-문제 모음 12제(1차) [I410-113-24-02-088185386] 도연히 취한 후에 선판(船板) 치며 즐기더니 서북간 일진광풍 홀연히 일어나니 태산 같은 높은 물결 하늘에 닿았구나 주중인(舟中人)이 황망하여 조수(措手)할 길 있을쏘냐 나는 새 아니니 어찌 살기 바라리오
    찜 0 구매 18 4,500원
  • 선상탄(박인로)-문제 모음 20제(1차) 이 작품은 전쟁 가사의 대표적 작품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부산에 통주사로 부임한 작가의 상황과 심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왜적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 우국충정의 마음을 드러내고, 설분신원할 것을 다짐하며 기개와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찜 0 구매 18 5,000원
  • 만흥(漫興. 윤선도)-문제 모음 18제(3차) [I410-113-24-02-088185822] 자연에 묻혀 지내는 한가롭고 흥겨운 심정을 읊으면서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것은 사대부 시조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리고 있다.
    찜 0 구매 18 5,000원
  • 동동(작자 미상)-문제 모음 20제(2차) [I410-113-24-02-088184558] ‘동동’에서는 대부분의 연들이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데에 비해, 1연은 송도(頌禱)의 의미가 두드러져서 정서의 흐름이 이질적이다. 또한, 다른 연에서는 첫 구절 다음에 감탄사가 나타나지만 1연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형식적 이질성도 발견된다.
    찜 1 구매 18 5,000원
  • 영유가고안(이달)-문제 모음 8제(1차) 만리장성에 오랑캐 된서리 온 뒤에야 ⓓ남녘땅 온기 찾아 홀로 물 넘고 구름 넘다가 그만 그물에 떨어졌다네. 먹고 마시기도 남의 뜻에 따르니 놀며 지내다 뒤쳐져 길 막힘을 한하노라.
    찜 1 구매 17 3,000원
  • 시집살이 노래(작자 미상)-문제 모음 45제(1차. 서술형 포함) [I410-111-24-02-088583351]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고개로 형님 온다 형님 마중 누가 갈까 형님 동생 내가 가지 형님 형님 사촌 형님 시집살이 어떱뎁까 ㉠이애 이애 그 말 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앞밭에는 당추(唐楸) 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찜 2 구매 17 10,000원
  • 추강에 밤이 드니(월산대군)-문제 모음 20제(1차) 자연 친화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자연 속에서 무욕의 삶을 살아가는 화자의 안분지족의 삶의 태도가 잘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17 5,000원
  • 싀어마님 며느라기 낫바(미상. 시어머님)-문제 모음 18제(1차) 이 작품은 대가족 제도에서 겪는 며느리의 맵고 고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일상적인 소재를 동원하여 소박하면서도 해학적으로 표현한 사설시조이다. 농촌의 실생활과 밀착된 소재를 동원한 비유적 표현으로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중장에서 시댁 식구들의 모습을 희화화하여 구체적으로 열거함으로써 왜곡된 가정생활에 대한 비판 의식을 해학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찜 0 구매 17 5,000원
  • 눈물(김현승)-42문제(2차. 서술형 포함) [I410-111-24-02-088581633] 더러는 옥토(沃土) 세 떨어지는 작은 생명이고저……. 흠도 티도, 금 가지 않은 나의 전체(全體)는 오직 이뿐!
    찜 0 구매 17 10,000원
  • (문학-가사) 덴동어미 화전가(작자 미상)-20문제(모의고사 2차) 전체적으로 액자식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전체 구조가 특이함. 청춘과부의 슬픔 토로에 대해서 덴동어미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보라며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시작한다. 덴동어미의 이야기를 들은 청춘과부가 삶의 이치를 깨닫고 화전놀이를 즐기면서 마무리가 된다. 결국 액자 밖은 현재 화전놀이와 청춘과부의 이야기이고, 액자 안은 덴동어미의 인생 이야기라고 보면 된다.
    찜 1 구매 17 5,000원
  • 영립(삿갓을 읊으며. 김삿갓)-문제 모음 22제(1차) 가뿐한 내 삿갓이 빈 배와 같아 한번 썼다가 사십 년 평생 쓰게 되었네. 목동은 가벼운 삿갓 차림으로 소 먹이러 나가고 어부는 갈매기 따라 ⓓ삿갓으로 본색을 나타냈지. 취하면 벗어서 구경하던 꽃나무에 걸고 흥겨우면 들고서 다락에 올라 달구경하네. 속인(俗人)들의 의관은 모두 겉치장이지만 ⓔ하늘 가득 비바람 쳐도 나만은 걱정이 없네 - 김병연, ‘삿갓을 읊다’
    찜 0 구매 16 6,000원
  • 고공가(허전)-문제 모음 19제(3차) 처음에 할아버님 살림살이 하려 할 제 인심(仁心)을 많이 쓰니 사람이 절로 모여 풀 뽑고 터를 닦아 큰 집을 지어 내고 써레 보습 쟁기 소로 전답을 기경(起耕)하니 올벼 논 텃밭이 여드레 갈이로다
    찜 0 구매 16 5,000원
  • 어부사시사(윤선도)-문제 모음 21제(3차) [I410-113-24-02-088185626] 석양(夕陽)이 비꼈으니 그만하고 돌아가자 돛 내려라 돛 내려라 버들이며 물가의 꽃은 굽이굽이 새롭구나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찜 1 구매 16 5,000원
  • 개야미 불개야미(작자 미상)-문제 모음 18제(1차) 개야미 불개야미 잔등 부러진 불개야미 압발에 정종(疔腫)나고 뒷발에 죵귀 난 불개야미 광릉(廣陵) 샘재 너머 드러 가람의 허리를 가르 무러 추혀들고 북해를 건너닷 말이 이셔이다 님아 님아 온 놈이 온 말을 하여도 님이 짐쟉하쇼셔.
    찜 0 구매 16 5,000원
  • 방옹시여(신흠)-문제 모음 18제(2차) 산촌(山村)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어라 시비(柴扉)를 여지 마라 날 찾을 이 뉘 있으리 밤중만 일편명월(一片明月)이 그의 벗인가 하노라
    찜 0 구매 16 5,000원
  • 성산별곡(정철)-문제 모음 20제(2차) I410-ECN-0102-2023-000-001632991 이 작품은 정철이 당쟁으로 물러나 성산에서 살 때, 식영정 주인 김성원을 위해 지은 노래이다. 속세를 떠나 마치 신선처럼 살아가는 김성원을 부러워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으며, 성산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와 그 속에서 신선처럼 살아가는 김성원을 예찬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찜 0 구매 16 5,000원
  • 복선화음록(미상)-문제 모음 21제(1차) 산에 가 제사하기 절에 가 불공하기 불효부제 제살한덜 귀신인덜 도와줄가 악병이며 중병이며 이질이며 구창이며 이질 앓던 시아버지 초상한덜 상관하랴
    찜 0 구매 16 5,000원
  • 백구야 말 물어보자(김천택)-17문제(1차. 서술형 포함) [I410-111-24-02-088582014] 이 작품은 자연 속에서 지내려는 화자의 마음을 갈매기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16 4,500원
  • 만흥(漫興. 윤선도)-문제 모음 18제(4차) [I410-113-24-02-088185831] 화자는 혼자 앉아 바라보는 먼 산이 말을 하거나 웃음을 짓지 아니해도 그리워하던 ‘임’을 만난 것보다 즐겁다. 따라서 화자가 인식하는 ‘먼 산’은 가까이하고 싶은 친화적 공간이며, 이 공간에서의 삶은 화자에게 자족감을 준다. 화자는 자연에 묻혀 한가롭게 살면서 자연과 하나 되는 삶에서 스스로 만족감과 편안함을 느끼고 있다.
    찜 0 구매 16 5,000원
  • 부벽루(이색)-21문제(내신, 모의고사 묶음) 화자는 고구려의 유적지인 평양성을 지나면서 영화롭던 옛 왕조를 회상하며 현재의 처지를 안타까워하고 있다.
    찜 0 구매 16 4,000원
  • 오관산(문충)-문제 모음 11제(1차) [I410-113-24-02-088609523] 나뭇조각으로 작은 당닭 만들어 집게로 집어 벽의 훼에 앉혔네 ㉠이 닭이 꼬끼오 울며 시간을 알릴 제야 어머님 얼굴 비로소 지는 해와 같으리
    찜 0 구매 16 5,000원
  • 제망매가(월명사)-문제 모음 23제(4차) [I410-113-24-02-088184834] 이 시는 10구체 향가로 죽은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 슬픔 등을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의 낙구에는 ‘아야’라는 감탄사가 사용되어,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집약하고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16 6,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