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연행가(홍순학)-문제 모음 20제(1차) 작가는 4월 9일에 서울을 출발하여 그해 8월 23일까지 총 133일 동안의 견문을 기록하였다. 이 작품은 서울에서 북경까지 긴 노정에 따라 고적을 더듬고, 풍속을 살피고, 견문하였던 바를 소상히 기록한 여행기로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와 쌍벽을 이루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찜 1 구매 33 5,000원
  • (문학-시조)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26문제(모의고사 1차)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절실한 그리움과 간절한 기다림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추상적인 개념인 시간을 마치 형태가 있는 것처럼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하여 임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과 사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감각적인 의태어로 나타내고 있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리며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을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33 5,000원
  • 출새곡(조우인)-문제 모음 36제(1차) I410-ECN-0102-2023-000-001633605 북방(北方) 이십여 주(二十餘州)예 경성(鏡城)이 문호(門戶)ㅣ러니 치병(治兵) 목민(牧民)을 날을 맛겨 보내시니 망극(罔極) 성은(聖恩)을 갑풀 일이 어려웨라 서생(書生) 사업(事業)은 한묵(翰墨)*인가 너기더니 백수(白首) 임변(臨邊)*이 진실노 의외(意外)로다 인정전(仁政殿) 배사(拜辭)하고 칼흘 집고 도라셔니 만 리(萬里) 관하(關河)의 일신(一身)을 다 닛괘라
    찜 0 구매 32 10,000원
  • 관동별곡(정철)-문제 모음 21제(2차) [I410-113-24-02-088186696] 이 작품은 송강 정철이 45세 되던 때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내·외·해금강과 관동 팔경을 유람한 후 그 여정의 아름다운 경치와 고사(故事), 풍속 등을 읊은 작품이다. 활달한 분위기, 낭만적인 서정이 넘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잘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32 5,000원
  • 복선화음가(작자 미상)-문제 모음 15제(1차) 아들 형제 진사 급제 가문도 혁혁하다 딸을 길러 출가하니 혼수범절 치행이야 다시 일러 어떠하리 춘하추동 사철 의복 너의 생전 유족하다 바느질에 침선(針線)채며 대마구종(大馬驅從) 춘득이요 전갈(傳喝)하님 영매로다* 남녀노비 갖았으니 전답인들 아니 주랴 대한불갈(大旱不渴)* 좋은 전답 삼백 석 받는 추수(秋收) 동도지(東賭地) 오천 냥은 요용소치(要用所致) 유여(有餘)하다 나의 신행(新行)* 올 때가 도리어 생각난다 저 건너 괴똥어미 시집살이 하던 말을 너도 들어 알거니와 대강 일러 경계하마 제일 처음 시집올 제 가산(家産)이 만금(萬金)이라 마당에 노적(露積)이요 너른 광에 금은이라
    찜 0 구매 31 5,500원
  • 일민가(윤이후)-문제 모음 13제(1차) 이 몸이 늦게 나서 세상에 할 일 없어 강호의 임자 되야 풍월로 늙어가니 물외청복(物外淸福)이 없다야 하랴마는 돌이켜 생각하니 애달픈 일 하고 많다 만물의 귀한 것이 사람이 으뜸인데 그중의 남자 되야 이목총명(耳目聰明) 갖춰 삼겨 평생의 먹은 뜻이 일신부귀 아니러니 세월이 훌쩍 가고 지업(志業)에 때를 놓쳐 백수공명(白首功名)을 겨우 굴어 이뤄내니
    찜 0 구매 31 4,500원
  • 한 손에 막대 잡고(우탁. 탄로가)-문제 모음 19제(1차) (I410-ECN-0102-2023-000-002077452)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찜 2 구매 31 5,500원
  • 어부단가(어부가. 이현보)-문제 모음 21제(2차) 이현보는 소인배들에 의해 혼탁해진 정치 현실에 대한 걱정으로 인해 자연에서의 평안을 온전하게 누릴 수 없었다. 「어부단가」에는 모든 것을 잊고 자연을 완상하고자 하는 마음과 사대부로서의 소명 의식 사이에서 이현보가 겪은 내적 갈등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찜 1 구매 31 5,000원
  • (문학-가사) 누항사(박인로)-22문제(모의고사 3차) 인물의 대화를 직접 인용하거나 궁핍한 생활에서 비롯된 감정을 사실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조선 전기 가사가 보여주었던 자연 완상의 세계에서 벗어나 조선 후기 가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찜 0 구매 31 5,000원
  • 마음이 어린 후이니(서경덕)-46문제(1차. 서술형 포함) [I410-111-24-02-088582309] 마음이 어리석은 후(後)니 하는 일이 다 어리석다. 만중운산(萬重雲山)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 서경덕의 시조
    찜 1 구매 30 10,000원
  • 대천 바다 한가운데(작자 미상)-문제 모음 16제(1차) [I410-113-24-02-088609514] 상식적으로 성립되지 않는 말의 허위성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한 점, ‘온 놈이 온 말을 하여도 임이 짐작하소서’라는 관습적 표현을 사용한 점이 주요 특징이다.
    찜 1 구매 30 7,000원
  • (고전 시가-가사) 고공가(허전)-21문제(모의고사 기출 1차) 이 자료는 모의고사에 출제된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제입니다. 정답만 있는 것아 아니라 해설까지 참고해서 혼자서 공부하기 좋은 자료입니다. 고등학생이 수능과 내신 준비하기에 유익한 자료입니다.
    찜 0 구매 30 5,000원
  • 밭매는 소리(작자 미상)-문제 모음 16제(1차) [I410-113-24-02-088611121] 불같이도 더운 날에 뫼같이도 험한 밭을 한 골 매고 두 골 매고 삼세 골로 매고 나니 땅이라 내려다보니 먹물로 품은 듯하고 하늘이라 쳐다보니 별이 총총 나왔구나
    찜 1 구매 29 6,000원
  • 율리유곡(김광욱)-문제 모음 21제(2차. 2021년 6월 고2, 고3 기출, 변형) [I410-113-24-02-088186605] 이 작품은 인목 대비 폐모론으로 인해 반대파에 의해 삭탈관직된 김광욱이 약 8년 동안 서울 근처의 ‘율리’에 은거하며 창작한 17수의 연시조이다. 어지러운 관직 생활을 버리고 자연에서 안분지족하며 살아가는 삶에서 느끼는 자부심과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29 5,000원
  • 방옹시여(신흠)-문제 모음 22제(1차)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신흠이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김포에 방축되었을 때 쓴 것으로 추정되는 30수의 시조 모음 중 세 수를 제시한 것이다.
    찜 0 구매 29 5,000원
  • 오우가(윤선도)-문제 모음 21제(1차) 오우가는 수(水), 석(石), 송(松), 죽(竹). 월(月)을 친근한 다섯 벗으로 삼아 각각 그 자연물들의 특질을 들어 작가의 짙은 애정과 삶의 철학을 드러내었다.
    찜 0 구매 29 5,000원
  • (문학-고시조) 도산십이곡(이황)-21문제(모의고사 1차) <도산십이곡>이란 조선조 13대 명조 20년(1565년)에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로 된 연시조를 말한다. 이것은 퇴계 자신이 벼슬을 사직하고 향리로 돌아와서 도산서원에서 후진을 양성할 때에 이학(理學)을 닦는 심지(心志)를 노래한 것으로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를 본받아 천석 고황(長石膏 )과 강학(講學), 사색으로 나날을 보내던 그의 생활상이 잘 나타나 있다.
    찜 0 구매 29 5,000원
  • 처용가(향가. 처용)-문제 모음 21제(1차) 이 작품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8구체 향가로, 신라 헌강왕 때 지어진 것이다. 배경 설화에 따르면 역신(천연두를 앓게 하는 귀신)이 처용의 아내를 범하였으나, 그것을 본 처용은 이 노래(「처용가」)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갔다고 한다.
    찜 0 구매 28 5,000원
  • 마음이 지척이면(작자 미상)-문제 모음 14제(1차) [I410-113-24-02-088610302] 마음이 지척이면 천리라도 지척이오 마음이 천리오면 지척도 천리로다 우리는 각재(各在) 천리오나 지척인가 하노라
    찜 1 구매 28 5,500원
  • 우활가(정훈)-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1-24-02-088583020] 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우활(迂闊)한고 우활도 우활할샤 그레도록 우활할샤 이바 벗님네야 우활한 말 들어 보소 이내 져머신 제 우활호미 그지업서 이 몸 삼겨나미 금수(禽獸)에 다르므로 애친경형(愛親敬兄)과 충군제장(忠君第長)을 분내사(分內事)만 혜엿더니 한 일도 못 되며 세월이 느저지니 평생(平生) 우활은 날 딸와 기러 간다
    찜 0 구매 27 6,000원
  • 훈민가(정철)-문제 모음 23제(1차) <훈민가>는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하여 지은 연시조로,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권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찜 0 구매 27 6,000원
  • 탄궁가(정훈)-문제 모음 20제(2차) 이 글의 화자는 가난한 현실을 어쩔 수 없는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고 이를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찜 1 구매 27 5,000원
  • 찬기파랑가(충담사)-문제 모음 34제(1차) [I410-113-24-02-088185448] 고결한 인품을 지닌 기파랑을 추모하며 그리워하고 찬양하는 개인적 정서를 표현하여,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고 노래가 유행가처럼 사람 입으로 퍼져 유행하였다.​
    찜 0 구매 27 8,000원
  • 상사곡(박인로)-20문제(모의 1차) 박인로의 「상사곡」은 이별한 임에 대한 연정의 마음을 잘 표현한 시가로서 화자를 둘러싼 배경과 자연물을 활용하여 홀로 있는 외로움과 멀리 있는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잘 드러내고 있다.
    찜 1 구매 27 5,000원
  • 가슴에 구멍을 둥시렇게 뚫고(작자 미상)-문제 모음 15제(1차) [I410-113-24-02-088610295] 가슴에 구멍을 둥시렇게 뚫고 왼새끼*를 눈 길게 너슷너슷* 꼬아 그 구멍에 그 새끼줄 넣고 두 놈이 두 끝 마주 잡아 이리로 훌근 저리로 훌쩍 훌근훌적 할 적에는 나나 남이나 다 그는 아무쪼록 견디려니와 아마도 임 여의고 살라면 그는 그리 못하리라 - 작자 미상
    찜 1 구매 27 6,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