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우활가(정훈)-문제 모음 21제(1차) [I410-111-24-02-088583020] 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우활(迂闊)한고 우활도 우활할샤 그레도록 우활할샤 이바 벗님네야 우활한 말 들어 보소 이내 져머신 제 우활호미 그지업서 이 몸 삼겨나미 금수(禽獸)에 다르므로 애친경형(愛親敬兄)과 충군제장(忠君第長)을 분내사(分內事)만 혜엿더니 한 일도 못 되며 세월이 느저지니 평생(平生) 우활은 날 딸와 기러 간다
    찜 0 구매 27 6,000원
  • 사우가(이신의)-문제 모음 24제(1차) 이 작품은 작가가 광해군의 폭정에 대해 상소하였다가 함경북도 회령에 유배되었을 때 창작한 연시조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당대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보신을 위해 자신의 지조를 꺾는 속된 선비들과는 달리 시류에 영합하지 않겠다는 지조를 보여 주고 있다.
    찜 1 구매 2 6,000원
  • 훈민가(정철)-문제 모음 23제(1차) <훈민가>는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하여 지은 연시조로,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권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찜 0 구매 27 6,000원
  • 영산가(작자 미상)-문제 모음 19제(1차) I410-ECN-0102-2023-000-001634506 영산홍록(映山紅綠)에 봄바람 넘노나니 황봉백접(黃蜂白蝶)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양산기(山陽山氣)를 자랑하고 가는 새 오는 나비 춘기춘흥(春氣春興)을 조롱한다 죽장(竹杖)을 짚고 망혜(芒鞋)를 신어라 천리강산 들어가니 만장폭포도 좋거니와 여산(廬山)이 여기로다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 의시은하낙구천(疑是銀河落九天)은 옛글에도 일러 있고 타기황앵(打起黃鶯) 아이들은 막교지상(莫敎枝上)에 한을 마라
    찜 0 구매 5 6,000원
  • 청산별곡(작자 미상)-문제 모음 24제(1차) [I410-113-24-02-088185671] 힘들고 고단한 현실 속에서 살고 있는 화자는 삶의 고뇌와 비애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설정한 ‘청산’과 ‘바다’에서 살고 싶다고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22 6,000원
  • 제망매가(월명사)-문제 모음 23제(4차) [I410-113-24-02-088184834] 이 시는 10구체 향가로 죽은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 슬픔 등을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의 낙구에는 ‘아야’라는 감탄사가 사용되어,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집약하고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16 6,000원
  • 봉선화가(미상)-문제 모음 26제(2차) 이 시는 봉선화 꽃잎을 따서 손톱에 물들이는 일을 소재로 하여 꽃에 대한 아름다운 정서를 노래하고 있다. 화자는 꿈 속에서 ‘푸른 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입은 한 여자’를 보고 이를 꽃귀신이라고 생각한다.
    찜 0 구매 9 6,000원
  • 만흥(漫興. 윤선도)-문제 모음 24제(1차) [I410-113-24-02-088185804]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며 살아가는 흥겨운 삶을 노래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전체 6수로 된 연시조로, 병자호란 때(1642년, 56세) 왕을 호종(扈從,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고향인 해남 금쇄동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이다.
    찜 0 구매 40 6,000원
  • 동동(작자 미상)-문제 모음 27제(1차) [I410-113-24-02-088184549] ‘동동’에서는 대부분의 연들이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데에 비해, 1연은 송도(頌禱)의 의미가 두드러져서 정서의 흐름이 이질적이다. 또한, 다른 연에서는 첫 구절 다음에 감탄사가 나타나지만 1연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형식적 이질성도 발견된다.
    찜 1 구매 36 6,000원
  • 가슴에 구멍을 둥시렇게 뚫고(작자 미상)-문제 모음 15제(1차) [I410-113-24-02-088610295] 가슴에 구멍을 둥시렇게 뚫고 왼새끼*를 눈 길게 너슷너슷* 꼬아 그 구멍에 그 새끼줄 넣고 두 놈이 두 끝 마주 잡아 이리로 훌근 저리로 훌쩍 훌근훌적 할 적에는 나나 남이나 다 그는 아무쪼록 견디려니와 아마도 임 여의고 살라면 그는 그리 못하리라 - 작자 미상
    찜 1 구매 27 6,000원
  • 강촌(두보)-문제 모음 22제(1차) (I410-113-24-02-088005445) 맑은 강 한 굽이 마을을 안고 흐르는데 긴 여름 강가 마을에는 일마다 한가롭다. 절로 갔다 절로 오는 들보 위의 제비. 서로 친근하게 노니는 물 위의 ㉠갈매기.
    찜 0 구매 0 5,500원
  • 복선화음가(작자 미상)-문제 모음 15제(1차) 아들 형제 진사 급제 가문도 혁혁하다 딸을 길러 출가하니 혼수범절 치행이야 다시 일러 어떠하리 춘하추동 사철 의복 너의 생전 유족하다 바느질에 침선(針線)채며 대마구종(大馬驅從) 춘득이요 전갈(傳喝)하님 영매로다* 남녀노비 갖았으니 전답인들 아니 주랴 대한불갈(大旱不渴)* 좋은 전답 삼백 석 받는 추수(秋收) 동도지(東賭地) 오천 냥은 요용소치(要用所致) 유여(有餘)하다 나의 신행(新行)* 올 때가 도리어 생각난다 저 건너 괴똥어미 시집살이 하던 말을 너도 들어 알거니와 대강 일러 경계하마 제일 처음 시집올 제 가산(家産)이 만금(萬金)이라 마당에 노적(露積)이요 너른 광에 금은이라
    찜 0 구매 31 5,500원
  • 님이 오마하거늘(임이 오마하거늘. 작자 미상)-문제 모음 22제(2차) 님이 오마 하거늘 져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셔 대문(大門) 나가 지방 우희 치다라 안자 이수(以手)로 가액(加額)하고 오는가 가는가 건넌산(山) 바라보니 거머흿들 셔 잇거날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마른 듸 갈희지 말고 워렁충창 건너가셔 정(情)엣 말 하려 하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년(上年) 칠월(七月) 열사흔날 갈가 벅긴 주추리 삼대 살드리도 날 소겨다
    찜 0 구매 9 5,500원
  • 두류산 양단수를(조식)-문제 모음 23제(1차)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를 녜 듯고 이졔 보니 도화(桃花) 뜬 맑은 물에 산영(山影)조차 잠겻셰라. 아희야 무릉(武陵)이 어듸오 나는 옌가 하노라.
    찜 0 구매 7 5,500원
  • 병산육곡(권구)-문제 모음 22제(2차) 서산(西山)에 해 져 간다 고깃배 떴단 말가 죽간(竹竿)을 둘러메고 십 리 장사(十里長沙) 내려가니 연화(煙花) 수삼(數三) 어촌(漁村)이 무릉(武陵)인가 하노라
    찜 1 구매 4 5,500원
  • 한 손에 막대 잡고(우탁. 탄로가)-문제 모음 19제(1차) (I410-ECN-0102-2023-000-002077452)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찜 2 구매 31 5,500원
  • 자도사(조우인)-문제 모음 23제(1차) 인생이 몇 날이며 이내 몸 어이할꼬 주렴(珠簾)을 손수 걷고 옥계(玉階)에 내려가 오색구름 깊은 곳에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안개문 구름창 천리만리 가렸구나
    찜 0 구매 56 5,500원
  • 매호별곡(조우인)-문제 모음 23제(1차) 태평시절 바린 몸이 물외(物外)예 누어더니 갑 업 풍월과 임자 업는 강산을 조물이 허락하야 날을 맛겨 바리시니 ⓐ내라 사양하며 닷토리 뉘 이시리
    찜 0 구매 22 5,500원
  • 탄궁가(정훈)-문제 모음 23제(1차) 이 글의 화자는 가난한 현실을 어쩔 수 없는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고 이를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화자는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이별할 일이 없었던 것을 내세워 자신을 꾸짖는 궁귀의 말에 수긍하며 자신이 잔꾀로 궁귀와 이별하려던 생각을 반성하고 있다.​
    찜 1 구매 42 5,500원
  • 제망매가(월명사)-문제 모음 23제(1차) [I410-113-24-02-088184807] <제망매가>는 10구체 향가로, 내용상 3단 구성(4-4-2)으로 나뉘어 시상이 전개된다. 1~4구에서는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이, 5~8구에서는 삶의 무상함이, 9~10구에서는 인간적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종교적 극복 의지가 나타난다.
    찜 0 구매 40 5,500원
  • 오백 년 도읍지를(길재)-문제 모음 23제(1차) [I410-113-24-02-088184718] 이 작품은 고려의 유신인 길재가 과거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에 찾아와 성안을 둘러보면서 지은 평시조이다. 고려가 망함으로써 과거 화려했던 궁궐의 모습은 사라졌지만 자연은 여전히 변함없는 모습인 것을 대조하며 비통함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10 5,500원
  • 마음이 지척이면(작자 미상)-문제 모음 14제(1차) [I410-113-24-02-088610302] 마음이 지척이면 천리라도 지척이오 마음이 천리오면 지척도 천리로다 우리는 각재(各在) 천리오나 지척인가 하노라
    찜 1 구매 28 5,500원
  • 노부탄(순천 김 씨)-문제 모음 13제(1차) (I410-113-24-02-088005374) 산 너머 저 부자님 곡식 두고 자랑마오 입고 벗고 먹고 굶기 그 무엇이 관계(關係)한가 부세(浮世)에 좋은 영광 과거(科擧)밖에 또 있는가 하물며 모인 사람 한결같이 하는 말이 일 년에 대소과(大小科)는 평생 끽착(喫着)* 못 다 하리
    찜 0 구매 1 5,000원
  • 춘산에 눈 녹인 바람(우탁)-문제 모음 17제(1차) (I410-ECN-0102-2023-000-002077447) 이 시조는 우탁이 남긴 2편의 탄로가이다. 탄로가란 늙음을 한탄하는 노래를 일컫는다. 눈을 녹인 바람을 빌려다가 흰머리를 녹여보고 싶다는 바람을 표현하고 세월이 흘러 어쩔 수 없이 늙어 가는 것을 ‘막대’와 ‘가시’로 막으려 한다고 표현한 작가의 뛰어난 발상이 참신한 작품이다.
    찜 0 구매 2 5,000원
  • 정석가(작자 미상)-문제 모음 22제(2차) (I410-ECN-0102-2023-000-001614368)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대(先王聖代)예 노니아와지이다.
    찜 1 구매 9 5,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