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현대시) 슬픔을 위하여(정호승)-해설 이 작품은 슬픔을 통해 가난하고 소외된 민중들의 아픔과 고뇌를 이겨 내게 해줄 수 있다는 믿음을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슬픔이란 부정되거나 위로 받아야 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곁에서 머무르며 평등과 화해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슬픔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사람만이 슬픔을 이겨낼 수 있다는 인식이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현대시) 슬픈 족속(윤동주)-해설 일제 치하라는 시대적 어둠에 의연하게 삶을 살다간 윤동주 시인의 깔끔함이 그대로 묻어나는 짧은 시이다. 일체의 감정이 배제된 2연 4행의 지극히 간결한 시로 이러한 간결함 속에 의연한 자세가 묻어난다.
    찜 0 구매 2 1,000원
  • 꺼삐딴 리(전광용)-해설(2013년 9월 고3 평가원) (택시 안, 회중시계 보며 과거 회상) 시대에 따라 약삭빠르게 변신하는 속물 근성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나 널려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지도층들이 역사 발전을 저해하면서도 주도해 나가는 참담한 현실을 자각 전광용은「꺼삐딴 리」에서 형상화하여 날카롭게 풍자 비판하는 한편, 새로운 도덕 의식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찜 0 구매 1 2,000원
  • 토지(박경리 원작, 이형우 각색)-해설(2017년 4월 고3) (최치수 모친 윤씨 문안) 최 참판가의 주인인 최치수의 어머니 윤씨 부인은 치수가 10여 세였던 옛날에 김개주에게 겁탈당하고 김환을 몰래 낳게 된다. 그 김환이 후에 치수 집 머슴으로 들어와 치수의 처와 정을 통하고 함께 도망친다. 그러던 중 고종 40년에 전국을 휩쓴 호열자와 그 뒤의 대흉년으로 마을 사람들이 몹시 고통받는다.
    찜 0 구매 1 1,000원
  • 토지(박경리)-해설(2019년 6월 고3 평가원) (만주에서 길상과 상현 만남. 결혼 전) 서희는 마침내 복수에 성공하고 옛 땅을 되찾는다. 하지만 그렇게 복수를 하고 난 후 서희의 마음속에 남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짙은 허무였다. 결국 한시도 자기 자신을 위해서 살지 못했다는 생각. 아버지 최치수처럼, 할머니 윤 씨 부인처럼 서희 역시 가문을 위해 종처럼 산 것뿐이다.
    찜 0 구매 1 3,000원
  • 토지(박경리)-해설(2017년 4월 고3) (윤씨 절에 다녀오기 전과 후) 지주인 최치수나 그의 어머니 윤 씨는 이 공동체의 정점에 서 있는 인물들이다. 양반이며 지주인 이들은 또한 봉건 가치를 수호하면서 그것이 흔들리는 것을 한 치도 용납하지 않는다. 하지만 최치수와 윤 씨 부인이 양반 계급에 대해 자부심을 지닌 것은 아니다.
    찜 0 구매 0 3,000원
  • 버들댁(한승원)-해설(2020년 11월 고1) 이 작품은 연작 소설집 『잠수거미』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 버들댁은 비록 천하가 손가락질하는 버러지 같은 손자지라도 그녀에겐 유일한 혈육이자 삶의 온기다. 그래서 지극정성으로 손자를 쓸어안는다. 이 작품을 통해 ‘할머니’란 단어가 든든한 기둥처럼 느껴진다.
    찜 0 구매 6 4,000원
  • (현대시) 수선화에게(정호승)-해설 이 시는 화자가 ‘수선화’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을 통해 외로움에 가슴 아파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로하며, 근원적 외로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외로움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삶의 보편적 정서이므로, 이를 수용해야 함을 담담한 어조로 전달하고 있다. 이 시에서 청자인 ‘너’는 수선화이며, ‘수선화’는 인간을 상징한다.
    찜 0 구매 10 2,000원
  • (현대시) 수라(백석)-해설 일제 치하의 가족의 붕괴는 작가의 또 다른 시 <여승>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도 마찬가지로 1930년대 일제에 의해 가족 공동체가 붕괴된 우리 민족들의 모습을 거미에게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화자가 거미 가족을 문밖으로 버리는 행위는 1연부터 3연까지 똑같이 반복된다.
    찜 0 구매 2 2,000원
  • (현대시) 소년에게(이육사)-해설 이 시의 작가인 이육사는 고향의 낙동강 가에 앉아, 강물의 큰 흐름을 생각하며 세상을 향해 나아간 ‘영웅’의 이야기에 심취했다고 한다. 이러한 유년의 경험은 민족사의 부활을 믿고 이를 위해 헌신한 그의 삶에 영향을 끼쳤으며, 또한 삶과 시를 일치시킨 그의 시 세계를 구축하게 하였다.
    찜 0 구매 1 2,000원
  • (현대시) 소년(윤동주)-해설 윤동주의 시가 일반적으로 지식인으로서의 시대적인 사명감, 순결한 양심, 갈등하는 자아 등과 같은 시적 지향을 지니고 있다면, ‘소년(少年)’은 그러한 것과 거리가 있는, 한마디로 연시(戀詩)라 할 수 있다. 이 시는 전체적으로 시상의 전개가 연쇄 반복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찜 0 구매 17 1,000원
  • (현대시) 석문(조지훈)-해설 이 시는 시인의 고향인 경북 영양 일월산 황씨 부인 사당에 전해지는 전설을 소재로 하여 지어진 작품이다. 일월산 밑의 황씨 처녀가 시집간 첫날 밤이었다. 화장실에 갔다온 신랑이 문창호지에 비친 칼의 그림자가 자신의 연적이라 생각하고 도망갔다.
    찜 0 구매 1 1,000원
  • (현대시) 석류(정지용)-해설 이 시는 1927년 3월 「조선지광」에 ‘향수’와 함께 발표되었다. 축축한 감상주의나 투박한 정감 토로가 지배적이던 당시 시단 속에서 정지용 시의 단아한 성취는 매우 경이적인 일로 평가 받는다. 이 시는 겨울밤 화롯가에서 지난 가을에 익었던 석류 열매를 쪼개어 알맹이를 맛보며 느끼는 애틋한 정감을 그려 놓고 있다.
    찜 0 구매 6 2,000원
  • (현대시) 새로운 길(윤동주)-해설 이 작품은 매일매일 같은 길을 가지만, 그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임을 표현하고 있다. 구성에 있어서는 반복과 수미 상관이라는 단순성을 보여 주지만 '민들레, 까치' 등의 친근한 시어와 같은 음절이 반복해서 쓰임에 따라 일어나는 음위율과 같은 효과를 통해 싱그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찜 0 구매 8 2,000원
  • (현대시) 산이 날 에워싸고(박목월)-해설 이 작품은 1946년 3인 공동 시집 『청록집』에 수록된 작품으로 일제 강점기의 어두운 현실 속에서 시인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가 나타나 있다. 이 시에서 화자가 추구하는 자연에서의 삶은 점층적으로 변해 가고 있다.
    찜 0 구매 3 2,000원
  • (현대시) 산유화(김소월)-해설 이 시는 ‘산유화’를 소재로 하여 자연 세계를 관조한 것이다. 화자가 ‘산’, ‘꽃’, ‘새’를 연계하여 관조한 자연의 특성은 ‘산’을 통해서 잘 드러난다. 자연은 ‘꽃’이 무시로 피고 지는 세계, 즉 생성과 소멸이 무한히 반복되는 순환의 세게이고, ‘꽃'이나 ’작은 새’와 같은 자연물이 어울려 있는 세계이다.
    찜 0 구매 5 2,000원
  • 산상의 노래(조지훈)-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광복 후 민족의 미래를 고고한 태도로 모색하는 지사적 풍모를 형상화하고 있는 시이다. 화자는 광복의 기쁨 가운데, 수난을 겪었던 과거와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현실을 성찰하고 있다. 절제된 어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주제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찜 0 구매 1 2,000원
  • (현대시) 산방(조지훈)-해설 이 시는 ‘산방’이라는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산사에서 느끼는 봄날의 정취를 다룬 작품이다. 작가가 머물고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 눈에 보이는 자연물을 시선의 이동에 따라 묘사하였다. 봄이 되어 들려오는 물소리, 울타리 옆에 피어난 난초, 따스한 봄볕을 누비고 다니는 꿀벌, 변함없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바위, 소슬 바람에 머리를 마는 고사리 순을 파노라마 기법으로 보여주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현대시) 산도화(山桃花) 1(박목월)-해설(2020학년도 수능완성) 이 시는 봄날의 정경을 담은 동양화 같은 이미지로 신비롭고 아름다운 자연의 이상화된 풍경을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다. 간결하고 짧은 시행과 압축적인 표현으로 평화롭고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구강산’, ‘산도화’, ‘암사슴’ 등의 탈속적인 소재를 통해 자연의 순수함과 봄날의 생동감을 잘 그려내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현대시) 산(박목월)-해설 자신의 고향을 오랜만에 찾아서 느끼는 정서를 담담하게 표현하였다. 역에 내리자 마자 시전은 산으로 간다. 산에는 아버지와 아우가 묻혀 있는 선산이 있고, 고향의 모습은 너무 많이 변해서 쓸쓸함을 느끼게 한다. 거리를 지나오면서 변해 버린 고향의 모습을 실감하고 집에 도착해 보니 감나무는 상상 못할 정도로 커 버렸다. 시간의 흐름을 느끼며 내일은 아버지와 동생이 묻혀 있는 선산을 방문하여 그리움의 정서를 풀자고 다짐한다.
    찜 0 구매 0 1,000원
  • (현대시) 사향가(박목월)-해설 이 작품은 공간의 대립을 통해, 고향을 떠난 화자의 힘겨운 삶을 드러내고 있다. 화자는 고통스러운 현실의 공간에서 이상적 공간을 지향하는데, 이상적 공간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지닌 낙원과 같은 고향의 이미지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고향은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화자가 처한 현실 상황으로 인해 도달할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찜 0 구매 5 2,000원
  • 독 짓는 늙은이(시나리오. 황순원)-해설(2016년 9월 고3) 이 작품은 독 짓는 일에 일생을 바친 한 노인의 집념과 좌절을 통해 시계와 치열하게 대결한 한 인간의 비극적인 결말을 감동적으로 그리고 있고, 한국적 전통미를 추구한 작품이다. 줄거리는 원작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감독은 단편 소설을 영화로 옮기는 과정에서 원작과 달리 송 영감의 시선 외에 다른 등장인물의 시선을 통한 서술을 추가하였다.
    찜 0 구매 1 1,000원
  • 독 짓는 늙은이(황순원)-해설(2016년 9월 고3) 이 작품은 대상을 사실적으로 그리기보다 어느 하나의 단적인 인상을 집어내는 데 주력하면서 절제된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대화에 의한 장면의 제시가 없이 설명적 진술과 서사적 묘사로 이루어져 있다. 서사적 전달 방식에 있어서 가장 전통적인 기법이라 할 수 있는 전지적 작가 시점을 사용하여 ‘송 영감’의 정신적 갈등을 서술할 뿐만 아니라, 인물의 행동에 대한 해설을 수행하고 있다.
    찜 0 구매 2 3,000원
  • (현대시) 비단 안개(김소월)-해설 이 시는 비단 안개 자욱한 어느 봄날을 배경으로 임과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하고 있다. 각 연이 모두 4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모든 행의 끝에 각운이 철저히 적용되어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봄날의 아련한 분위기와 그 분위기에 취한 젊은이의 잡히지 않는 사랑이라는 감정이 조화를 이루어 표현되고 있다.
    찜 0 구매 0 2,000원
  • (현대시) 비(정지용)-해설 이 시는 전체적으로 3음보의 리듬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가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모양에 맞추어서 연을 짧게 구성하였고, 시행도 그렇게 배열하였다. 또한, 비가 오는 모양을 직접 말하지 않고도 비유의 형식을 통하여 생생하게 표현해 낸 감각적 이미지가 뛰어난 작품이다.
    찜 0 구매 5 2,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