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강산 죠흔 경을(김천택)-해설 이 시는 평민 출신의 가객인 작가가 속세에서는 자신의 처지와 분수로 많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자연 속에서는 마음껏 노닐 수 있음을 노래하며, 자연 속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자연을 좋은 경치를 감상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속세와 달리 마음껏 노닐 수 있는 공간으로 여긴다.
    찜 0 구매 0 1,500원
  • 빈천을 팔려고(조찬한)-해설(201607, 고3) 화자는 빈천을 팔려고 권문세가의 집을 찾았으나, 오히려 권세가 얼마나 무가치한 것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오히려 자연 속에서 청복을 누리고 있는 자기의 생활이 어떤 권세가의 생활보다도 더 행복하다는 것을 자신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강산과 풍월, 즉 아름다운 자연을 달라고 하니 펄쩍 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 백설이 잦아진 골에(이색)-해설 이 시조는 고려 말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시조이다. 지은이 이색은 고려의 충신으로 기울어가는 고려의 국운을 보면 안타까운 심정에 이 시조를 지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조의 주제는 기울어가는 고려의 국운에 대한 걱정이라 할 수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가노라 삼각산아(김상헌)-해설(2018학년도 수특) 이 작품은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대해 결사 항전을 주장하던 화자가 전쟁 후 청나라의 심양으로 끌려가면서 지은 노래이다. 척화파의 중심인물로 기개를 잃지 않았던 화자의 절절한 안타까움과 비분강개의 심정이 담겨 있다.
    찜 1 구매 1 1,500원
  • 국화야 너난 어이(이정보)-해설(2018학년도 수특) 이 작품은 작가가 벼슬에서 물러나 생활할 때, 오상고절을 꽃피운 국화를 보고 예찬한 시조이다. 삼월 동풍에 피어나는 다른 꽃들과 달리 낙목한천에 혼자 서리를 맞고 피어난 국화를 예찬함으로써 군자로서 가져야 할 덕목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1 1,500원
  • 부귀를 탐치 말고(임제)-해설(201711, 고1) 이 작품은 벼슬살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었다. 부귀와 빈천을 대조적으로 제시한 후 부귀(벼슬살이)는 위험한 것이어서 목숨 보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멀리하라는 작가 자신의 자기 위안이며, 타인에 대한 경고의 노래이다. 출(관직 생활)보다는 처(자연 생활)의 삶을 지행하고 있다.
    찜 0 구매 1 1,500원
  • 눈 마자 휘어진 대를(원천석)-해설(2018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의 화자는 한겨울에 눈을 맞아 휘어지기는 했지만 꺾이지 않고 푸르른 대나무를 보며 시련 속에서도 굽히지 않는 곧은 절개를 노래하고 있다. 고려의 유신(遺臣)인 작가는 시류(時流)에 영합하는 무리의 회유와 핍박에 굴하지 않고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는 유학자적인 절의를 끝까지 지켰는데, 이 작품은 그러한 절의를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찜 0 구매 1 1,500원
  • 이 몸이 주거 가셔(성삼문. 이 몸이 죽어 가서)-해설(2020 수능특강) 이 작품은 화자의 굳은 절개를 노래한 시조이다. 죽어서도 큰 소나무가 되어 흰 눈이 온 세상을 덮는 상황에서도 홀로 푸르름을 지켜 나가겠다는 내용으로,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인 성삼문이 수양 대군이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를 찬탈하는 데 반대하면서 단종에 대한 지조를 지키겠다는 굳은 다짐을 표현한 평시조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 두류산 양단수를(조식)-해설(2018학년도 수능완성) 류산은 지리산의 다른 이름으로, 이 작품은 지리산의 뛰 어난 경치를 무릉도원이라는 선경(仙境)에 빗대어 그 아름다움 을 예찬하고 있다.
    찜 0 구매 3 1,500원
  • 벽사창이 어른어른커늘(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완성 유형) 이 작품은 임이 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빚어진 착각이 창작 동기가 된 시조로, 임에 대한 그리움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여 웃음과 연민을 동시에 자아낸다. 지나가는 구름의 그림자를 보고 임이 온 줄 착각했다는 화자의 진솔한 고백에서 임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그리움이 드러난다.
    찜 0 구매 1 1,500원
  • 꿈에 단니난 길이(이명한)-해설(2023학년도 수능완성 유형) 이 작품은 이옥봉의 한시 <자술(또는 몽혼)>을 시조화한 작품으로 꿈속에서 임을 찾아 얼마나 헤매고 있는지를 재치 있는 착상으로 표현한 시조이다. 애절한 화자의 마음이 눈에 보이는 듯 선명하게 나타나고, 이를 알아주지 않은 허전함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4 1,500원
  • 개야미 불개야미(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등이 부러진 불개미에 관한 과장된 헛소문을 소재로 삼아, 결백을 호소하는 화자가 자신에 대한 모함을 믿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는 내용의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온 놈이 온 말을’ 하는, 즉 온갖 거짓말이 난무하는 세태를 비판하면서, 이성적이고 올바른 판단에 근거하여 타인의 말을 수용해야 함을 촉구하고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님으람 회양 금성(이정보)-해설(202203, 고3 모의고사) 이 작품은 임에 대한 사랑을 오래도록 지속하려고 하는 화자의 의지를 담은 사설시조이다. 임과 화자 자신이 오리나무와 칡넝쿨로 변신한다는 발상을 통해 어떠한 시련이 있어도 떨어지지 않겠다는 임을 향한 간절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4 1,500원
  • 남은 다 자는 밤에(송이)-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가람본 청구영언』에 기녀 송이의 작품으로 수록되어 있는 시조이다. 화자는 남들 다 자는 밤에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홀로 잠을 못 이루고 있는데, 더욱 안타까운 사정은 그 임이 이미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자는 차라리 자기가 먼저 죽어서 임이 자신을 그리워하게 만들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찜 0 구매 9 1,500원
  • 습수요(이달)-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중기 백성들의 궁핍한 상황을 드러내고 있는 칠언 절구의 한시이다. 밭고랑에서 이삭을 줍는 시골 아이의 말을 인용하여 관리들의 수탈로 인해 백성이 먹고살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음을 객관적이면서도 사실적으로 형상화한 점이 특징이다.
    찜 0 구매 7 1,500원
  • 어이 못 오더냐(어이 못 오던다. 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아무리 기다려도 자신을 보러 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과 강렬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이다. 반복, 연쇄, 열거, 설의 등의 표현법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 이 작품은 특히 장형화된 중장에서 일상적 제재들을 연쇄적으로 열거하며 과장된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그리움의 정서를 그리되 비탄에 빠지지 않고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7 1,500원
  • 임이 혜오시매(송시열)-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노론의 영수이자 성리학의 대가였던 송시열이 지은 평시조이다. 표면상 남녀 간의 사랑과 변심으로 인한 서러움을 노래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자신의 세력이 정치적으로 쇠한 시기에 임금의 지지를 잃은 슬픔을 읊은 작품으로 해석된다.
    찜 0 구매 8 1,500원
  • 사랑이 거짓말이(김상용)-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I410-ECN-0102-2023-000-001634546 이 작품은 조선 중기의 문신 김상용이 지은 평시조이다. 오지 않은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는 자신을 사랑한다는 임의 말이 거짓말이라며 임을 탓하고 있다. 특히 꿈에 와서 본다는 말은 더욱 거짓말인데, 그 이유는 자신처럼 그리움에 뒤척이노라면 잠을 잘 수 없을 것이므로 꿈에서 만날 수도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이 작품은 임의 부재(不在)로 인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지만, 작가인 김상용이 병자호란 때 왕족을 모시고 강화로 피란했다가 강화성이 함락되자 순절했던 인물임을 고려하여 이 작품을 임금에 대한 충성의 노래로 보기도 한다.
    찜 0 구매 5 1,500원
  • 곡구롱 우는 소리에(오경화)-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시조는 삼대가 함께 삶을 영위하는 한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잔잔한 행복을 담담하게 읊은 작품이다. 가족 구성원들이 만들어내는 한가롭고 정겨운 풍경들이 잘 나타나 한 가정의 평화로운 분위기를 느끼게 해 준다. 한편 내용과 형식면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설시조와 차이를 보임으로써 시조 형식의 다양성을 보여 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찜 0 구매 9 1,500원
  • 청초 우거진 골에(임제)-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시조는 당대의 대문장가이자 풍류객이었던 작가가 임지로 부임하는 길에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세상 사람이 아닌 황진이에게 묻는 말로 시작하여, 자연을 배경으로 삼고 청, 홍, 백의 색채 이미지를 가진 소재들을 통해 황진이의 무덤 앞에서 느끼는 인생의 무상과 비감, 애도의 태도를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8 1,500원
  • 짚방석 내지 마라(한호)-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시조는 다양한 자연물을 동원하여 자연 친화의 정서와 자연 속에서의 풍류를 노래한 대표적인 한정가(閑情歌)이다. 달빛 아래 낙엽을 방석 삼고 앉아 한 잔의 술에 만족하는 화자의 소박한 모습에는 자연과 하나 되어 탈속의 여유를 만끽하면서 안빈낙도를 표방하는 옛 선비들의 삶이 잘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9 1,500원
  •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기다리던 임이 올 때의 마음가짐을 노래한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바람도 구름도 매도 모두 쉬어 넘을 정도로 높고 가파른 고개라 하더라도 자신은 임이 온다고 하면 쉬지 않고 넘어갈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조금이라도 빨리 임을 만나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이 과장된 표현과 맞물리며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찜 1 구매 3 1,500원
  • 창 내고자(작자 미상)-해설(2023 수능특강) 이 작품은 가슴이 답답할 때 열고 닫을 목적으로 가슴에 창을 내었으면 하는 발상을 독백의 어조로 노래하고 있는 사설시조이다. 화자가 왜 답답한 일을 겪는지는 밝히지 않는다. 이 노래의 개성은 인체를 건축물로 상정하여 거기에 창을 낸다는 기이한 발상에 있다.
    찜 0 구매 7 1,500원
  • 안락성을 지나다가 배척받고(과안락성. 김병연)-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7언 율시의 한시로, 안락성이라는 곳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그곳 양반들의 허세와 나그네를 홀대하는 각박한 세태를 비판하고 있다. 부정적인 대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와 함께 고달픈 자신의 처지를 해학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찜 0 구매 0 1,500원
  • 귀또리 저 귀또리(미상. 귓도리)-해설 귀뚜라미를 제재로 하여 임과 함께하지 못하는 외로운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임을 잃고 외롭게 살아가는 화자의 심정을 잘 노래한 작품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