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자도사(조우인)-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임금에게 버림을 받아 억울하게 감옥살이를 하는 신하의 애절한 심정을 남녀 관계에 의탁하여 읊고 있는 가사이다. 정확한 창작 연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작가가 광해군 때 시화(時禍)를 입어 3년간 감옥살이를 하면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찜 0 구매 18 4,000원
  • 사시가(황희)-해설(202206, 고3 평가원) 연시조의 형식으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자연의 모습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화자의 자연 친화적 삶과 흥취를 노래하고 있다. 1수에서는 봄을 배경으로 그물을 손질하고 밭을 가는 분주한 일상이 나타나며, 2수에서는 여름날 가랑비가 내리는 가운데 비옷을 입고 밭을 갈다 녹음이 우거진 곳에 누워 잠드는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3수는 붉게 물든 골짜기에 대추와 밤이 익어 가는 풍경과 추수를 끝낸 논에 게가 기어다니는 모습과 함께 술을 걸러 먹으리라는 화자의 흥취도 제시되어 있다. 4수는 새도 사람도 하나 없는 눈 덮인 겨울 풍경 속에 홀로 낚싯대를 드리운 노인의 풍류를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7 2,000원
  • 용부가(작자 미상)-해설(2016학년도 수능완성)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가사로 『경세설(警世說)』 또는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라는 가사집에 실려 있 다. 비도덕적이고 어리석은 부인 용부(庸婦)의 행적을 다루고 있으며 내용이 과장되고 표현이 속된 부분이 있 지만, 사실적인 묘사와 토속미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용렬한 여자가 저지르는 갖가지 부정적인 모습을 나열하 여 보여 줌으로써 여성의 바람직한 행실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깨우치고 있다.
    찜 0 구매 5 2,500원
  • 산중잡곡(김득연)-해설(기출 모음)  김득연의 <산중잡곡> 출제 작품 해설을 모았습니다. 1수, 2수, 3수, 5수, 6수, 8수 ,10수, 14수, 20수, 28수, 34수, 45수, 48수가 있습니다. . 
    찜 0 구매 2 4,000원
  • 산중잡곡(김득연)-해설(202206, 고2) 이 작품은 총 49수의 연시조이다. 자연 속에서의 소박하고 한가한 생활, 계절에 따른 자연의 아름다움 등을 통해 자연에 묻혀 사는 풍류와 멋을 노래하고 있다. 작가 자신의 삶이 이루어지는 곳이 곧 '무릉'이고, 자신이 '무릉인'이라는 발상은 선비들의 은일(隱逸)의 세계관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은 시적 상상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찜 0 구매 6 2,500원
  • 부벽루(이색)-해설(202206, 고2) 이 작품은 작가가 고구려의 옛 도읍인 평양의 부벽루에서 바라본 풍경을 통해, 인간사의 덧없음을 노래하고 있다. 한때 고구려의 수도였지만 텅 비어 있는 성의 모습에서 작가는 왕조의 무상함과 쓸쓸함을 느낀다. 작가는 이런 심정을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주몽)을 떠올리는 것과 휘파람을 부는 모습으로 나타내고 있다.
    찜 0 구매 5 2,000원
  • 개야미 불개야미(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등이 부러진 불개미에 관한 과장된 헛소문을 소재로 삼아, 결백을 호소하는 화자가 자신에 대한 모함을 믿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는 내용의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온 놈이 온 말을’ 하는, 즉 온갖 거짓말이 난무하는 세태를 비판하면서, 이성적이고 올바른 판단에 근거하여 타인의 말을 수용해야 함을 촉구하고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도산십이곡(이황)-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전문 수록) 이 작품은 작가가 만년에 은퇴하여 안동에 도산 서원을 세우고 후진을 양성하면서 지은 12수의 연시조이다. 전 6곡 언지에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뜻이 도의 완성을 지향하는 데 있음이 드러나 있고, 후 6곡 언학에는 학문의 즐거움과 학문에 정진하는 삶의 자세가 나타나 있다.
    찜 0 구매 0 3,000원
  • 만언사(안도환)-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정조 무렵에 대전별감이라는 벼슬살이를 하다가 횡령 사건을 일으켜 추자도로 유배를 간 작가의 실제 경험을 담아낸 장편의 가사이다. 유배지로 출발하는 시점부터 해배되어 한양으로 귀환하는 과정까지 겪은 경험과 이에 대한 소회를 다양한 수사를 섞어 실감 나게 표현하고 있어서 당시에도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 부분은 유배지에서 동냥을 해서 귀가하는 대목과 새해를 맞이하여 느끼는 소회를 읊은 대목이다.
    찜 0 구매 10 3,000원
  • 수월정청흥가(강복중)-해설(202204, 고3 기출) 이 작품은 21수의 연시조이다. 작가는 대둔산의 물줄기인 청계천(淸溪川)가에 자리잡은 수월정(水月亭)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랑하며 비록 가난하게 생활하지만 분수에 맞게 살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지문에 수록한 작품은 자연생활에서의 자신의 삶의 일부를 제시하여 자연 새활에서의 만족감과 여전히 잊지 못하는 속세의 일을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3 2,000원
  • 상춘곡(정극인)-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생략된 부분 작업함. 전문 포함) 엊그제 겨울 지나 새봄이 돌아오니 도화행화(桃花杏花)는 석양리(夕陽裏)에 피어 있고 녹양방초(綠楊芳草)는 세우 중(細雨中)에 푸르도다
    찜 0 구매 17 3,000원
  • 희설(홍계영)-해설(202204 고3 모의 기출) 이 작품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65행의 국한문 혼용으로 된 가사이다. 작자의 문집 『관수재유고(觀水齋遺稿)』에 실려 있다. 눈이 내리는 광경의 아름다움을 완숙하고 화려하게 나타내었다.
    찜 0 구매 2 2,500원
  • 강호사시가(맹사성)-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사계절의 순환에 대응시켜 강호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표현한 연시조이다. 각 계절의 흥취를 대표하는 소재를 배치하면서도 네 수를 형식적으로 통일시켜 주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맹사성은 잠깐 동안 벼슬에서 물러난 적은 있지만 비교적 순탄하게 오랜 관직 생활을 마무리한 조선 초기의 사대부이다.
    찜 0 구매 7 2,000원
  • 산민(김창협)-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을 보여 주는 한시이다. 백성들이 편안한 평지에서의 삶을 포기하고 이웃도 없는 산골에서 외로운 삶을 살게 된 원인, 그리고 먹을 것도 구하기 힘들어 고달픈 삶을 살게 된 원인이 모두 가혹한 수탈을 일삼는 관리들 때문이라는 것을 산골에 사는 아낙의 목소리를 통해 고발하고 있다.
    찜 0 구매 7 2,000원
  • 덴동 어미 화전가(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서민 여성들의 삶과 정서를 사실적으로 노래한 규방 가사로, 문학적인 가치가 뛰어나 주목할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봄을 맞아 화전놀이를 준비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해서 화전장에서 하루를 즐기는 모습, 그리고 하산해 집으로 돌아가는 과정과 집에 도착한 뒤의 감회까지의 모든 과정을 상세하게 그리고 있다.
    찜 0 구매 9 4,000원
  • 님으람 회양 금성(이정보)-해설(202203, 고3 모의고사) 이 작품은 임에 대한 사랑을 오래도록 지속하려고 하는 화자의 의지를 담은 사설시조이다. 임과 화자 자신이 오리나무와 칡넝쿨로 변신한다는 발상을 통해 어떠한 시련이 있어도 떨어지지 않겠다는 임을 향한 간절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찜 0 구매 4 1,500원
  • 별사미인곡(김춘택)-해설(202203, 고3) 이 작품은 조선 숙종 때 김춘택이 유배지인 제주에서 지은 가사이다. 정철의 가사에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정철의 「속미인곡 」에 등장하는 ‘저 각시’와 화자 자신(이 각시)의 처지를 비교하며 임(임금)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화자는 ‘저 각시’와 달리 광한전과 백옥경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고 임을 한 번도 곁에서 모신 적이 없는 존재이지만,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애절하게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8 2,500원
  • 면앙정가(송순)-해설(202203, 고1) 이 글은 송순이 고향인 전남 담양에 내려와 면앙정을 짓고 살면서 창작한 것으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은거하는 삶의 즐거움을 노래한 가사이다. 면앙정이 위치한 제월봉의 근원과 형세를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계절에 따른 면앙정의 아름다운 모습을 묘사하고, 마지막으로 강호에서의 풍류 생활과 호연지기를 드러냈다.
    찜 1 구매 20 3,000원
  •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김주영)-해설(202203, 고2) 서술자가 어린 시절 겪은 이러한 고통과 성장의 과정을 잘 보여 주는 것이 고미다락에서 지독을 발견한 사건이다. ‘그날 밤’ 이후 달라진 어머니의 행동으로 인해 아이들은 스스로 고미다락을 지키려고 하게 되는데, 이는 굶주림으로 인한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제력이 길러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고미다락에 얽힌 사건은 아이들의 정신적 성장을 암시하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찜 0 구매 14 3,000원
  • 남은 다 자는 밤에(송이)-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가람본 청구영언』에 기녀 송이의 작품으로 수록되어 있는 시조이다. 화자는 남들 다 자는 밤에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홀로 잠을 못 이루고 있는데, 더욱 안타까운 사정은 그 임이 이미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자는 차라리 자기가 먼저 죽어서 임이 자신을 그리워하게 만들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찜 0 구매 8 1,500원
  • 임이 오마 하거늘(작자 미상)-해설(202203, 고2) 임이 부재한 상황에서 임을 보고 싶어 하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초장에서 임이 온다는 약속을 떠올리며 임을 기다리는 모습이, 중장에서 임을 기다리는 모습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화자가 본 대상을 임이라 생각한 후에는 거침없고 과장되게 행동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찜 0 구매 8 2,000원
  • 낙빈가(작자 미상)-해설(202004, 고3 모의고사) 건너편 팔봉산에는 노루와 멧도야지가 있답니다. 그리고 기우제(祈雨祭) 지내던 개골창까지 내려와서 가재를 잡아먹는 곰을 본 사람도 있습니다.
    찜 0 구매 1 2,500원
  • 나무도 바이돌도(나모도 바희돌도. 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나무도 바이 돌도 없는 산에 매에 쫓긴 까투리의 안과 대천(大川) 바다 한가운데 일천 석 실은 배에 노도 잃고 닻도 잃고 용총도 끊고 돛대도 꺾이고 키도 빠지고 바람 불어 물결치고 안개 뒤섞여 잦아진 날에 갈 길은 천리만리 남았는데
    찜 0 구매 16 2,000원
  • 월곡답가(정훈)-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전체 10수의 연시조로, ‘벗’을 향한 그리움과 안타까운 마음을 제시하며 작가가 추구하는 삶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작품의 제목은 ‘월곡에게 답하는 노래’라는 뜻으로, 작가는 ‘월곡’을 떠오르게 하는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하여 현재 만날 수 없는 ‘월곡’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10 2,500원
  • 연행가(홍순학)-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1866년 3월에 왕비 책봉을 청나라에 주청하기 위하여 사행의 일원이 된 홍순학이 한양을 출발하여 북경에 갔다가 돌아올 때까지 총 133일 동안의 견문을 기록한 기행 가사이다. 작가는 사행 과정에서 보고 들은 것들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당대 청나라의 문물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찜 0 구매 7 3,000원
카카오톡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