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국어문제연구소

  • 산중잡곡(김득연)-해설(기출 모음)  김득연의 <산중잡곡> 출제 작품 해설을 모았습니다. 1수, 2수, 3수, 5수, 6수, 8수 ,10수, 14수, 20수, 28수, 34수, 45수, 48수가 있습니다. . 
    찜 0 구매 2 4,000원
  • 개야미 불개야미(작자 미상)-해설(2023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등이 부러진 불개미에 관한 과장된 헛소문을 소재로 삼아, 결백을 호소하는 화자가 자신에 대한 모함을 믿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는 내용의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온 놈이 온 말을’ 하는, 즉 온갖 거짓말이 난무하는 세태를 비판하면서, 이성적이고 올바른 판단에 근거하여 타인의 말을 수용해야 함을 촉구하고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희설(홍계영)-해설(202204 고3 모의 기출) 이 작품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65행의 국한문 혼용으로 된 가사이다. 작자의 문집 『관수재유고(觀水齋遺稿)』에 실려 있다. 눈이 내리는 광경의 아름다움을 완숙하고 화려하게 나타내었다.
    찜 0 구매 2 2,500원
  • 초부가(작자 미상)-해설(2019학년도 수능완성) 「초부가」는 나무꾼들이 나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나무꾼들이 산에서 나무를 하거나 나뭇짐을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노래만을 뜻하고, 넓은 의미로는 풀베는 노래, 나무 베는 노래, 나무 나르는 노래 등도 포함한다. 이 작품에서 화자는 고대광실에서 태어나 만석록을 누리는 남들과 달리 남의 집 머슴으로 태어나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나뭇짐을 져야 하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찜 0 구매 2 2,500원
  • 귀또리 저 귀또리(미상. 귓도리)-해설 귀뚜라미를 제재로 하여 임과 함께하지 못하는 외로운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임을 잃고 외롭게 살아가는 화자의 심정을 잘 노래한 작품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 구우(정약용)-해설 이 시는 작가가 벼슬에서 물러나 향리에서 지내며 장마철 서민의 궁핍한 생활상을 직접 보고 사실적으로 그 려낸 작품으로, 도탄에 빠진 민생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사회현실을 바로잡는 제도개혁이 필요함을 은근히 내비친 현실참여적인 성격의 시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 유원십이곡(楡院十二曲. 안서우)-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작가 안서우가 은처에 칩거하며 그곳에서의 생활을 노래한 총 13수의 연시조이다. 전반부에서는 출사를 포기하고 강호에서의 삶을 살겠다는 태도를 밝히며 강호에 은둔하는 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 보여주고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 창 내고자 창을 내고자(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현실의 답답함을 달랠 길이 없는 화자가 가슴을 뚫어 창을 내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는 사설시조이다. 기발한 발상과 더불어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해학적 분위기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성을 획득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방물가(房物歌. 작자 미상)-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잡가 중 하나로, 이별을 거부하는 여성과 여러 가지 방물로 여성을 회유하려는 남성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 남과탄(南瓜歎. 정약용)-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일상적 사건을 통해 현실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끼닛거리가 떨어져서 호박을 훔친 계집종을 꾸짖고 있는 아내에게 화를 풀라고 말하면서, 생계를 이어 나가기 어려운 처지에 대한 자조의 목소리를 내뱉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견여탄(정약용)-해설(2019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정약용이 지은 60행의 한시로, 참신한 제재와 표현을 통해 백성들의 괴로운 삶과 그러한 삶에 무감각해진 집권층의 잘못을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강호연군가(장경세)-해설(201804, 고3) 「강호연군가」에서 강호에 은거해 풍류를 즐기는 작가는 자연 속에서 성현의 학문을 칭송하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하며, 때로 임금을 잊지 못하고 나라를 걱정하며 근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찜 0 구매 2 2,500원
  • 강호구가(나위소)-해설(201803, 고3) 「강호구가」는 나위소가 관직에서 물러난 뒤 고향인 나주에 돌아와 영산강을 배경으로 지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나이가 들어 벼슬에서 물러난 처지에서 성은(聖恩)의 감격을 드러내며,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소박하게 살아가는 어부의 생활을 노래하였다.
    찜 0 구매 2 2,000원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최치원)-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작가가 자연의 물소리를 빌려 속세와 단절하고 자연 속에서 은둔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한 한시이다.
    찜 0 구매 2 1,500원
  • 정선 아리랑(작자 미상)-해설(2021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정선 아라리」로도 불리는, 강원도 전 지역에 걸쳐 있는 토속 민요이다. 이 작품은 창작층이 넓게 퍼져 있으며, 가사 또한 풍부한 편이다. 특히 노랫말은 매우 생산적이어서 기존의 것들을 참고하기도 하나 현장 상황에 따라 다수의 창작자가 즉흥적으로 만들어 내기도 한다.
    찜 0 구매 2 2,000원
  • 가마귀 눈비 맞아(박팽년)-해설 가마귀 눈비 마자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夜光明月)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 향(向)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변할 줄이 이시랴.
    찜 0 구매 2 1,500원
  • 추강에 밤이 드니(월산 대군)-해설(2018학년도 EBS 수특) 화자는 물욕(物慾)과 명리(名利)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삶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대쵸볼 불근 골에(황희)-해설 이 시는 대추가 익고 밤이 떨어지고 벼를 벤 논에 게가 기어 다니는 농촌의 자연 속에서 음주를 하는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는 삶을 노래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찜 0 구매 2 1,000원
  • 북천가(김진형)-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I410-ECN-0102-2023-000-002077730) 북천가는 작가가 상관의 비리를 고발하는 상소를 올린 후 반대파의 모함에 의해 함경도 명천으로 유배된 경험을 노래한 유배 가사이다. 그러나 작가는 자신이 올린 상소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유배 현실에 대한 불만과 현실 복귀로의 열망을 노래하는 대신, 유배 생활에서 느끼는 풍류와 여유로움, 흥취를 노래하며 자신의 호탕한 유배 생활을 과시하고 있다.
    찜 0 구매 2 3,000원
  • 농가구장(위백규)-해설(2020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작가가 시골에 은거하면서 농가의 일상을 사대부의 시각이 아닌 농부의 입장에서 노래하고 있는 전9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이다. 이 작품에는 농부의 생활과 농사일의 즐거움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농부의 입장에서 쓰였으므로 한자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주로 농촌에서 사용하는 일상어를 사용하고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 오륜가(김상용)-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I410-113-24-02-088609541] (5수 전체 해설) 이 작품은 유학에서 강조하는,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즉 오륜(五倫)을 백성들에게 일깨우기 위해 지은 연시조이다. 직설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주제 의식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찜 0 구매 2 2,000원
  • 설중방우인불우(이규보)-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고려의 유명한 문인 이규보가 지은 한시로, 오언 절구에 해당한다. 어느 겨울 친구의 집을 방문한 화자는 친구를 만나지 못하고 종이보다 하얀 눈 위에 자신의 이름을 남겨 방문 소식을 알리려 한다. 바람이 불면 이름이 지워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굳이 눈 위에 이름을 남김으로써 친구를 만나지 못한 절절한 아쉬움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찜 0 구매 2 1,500원
  • 병산육곡(권구)-해설(2019학년도 수능완성) 이 작품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살며 학문을 닦았던 권구의 유유자적하는 생활의 자취가 잘 드러난 연시조이다. 이 작품에는 향촌에 머무르는 삶에 대한 만족감이 드러난 한편, 정치 상황에 대한 근심도 드러나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 소춘향가(작자 미상)-해설(2022학년도 수능특강) 이 작품은 판소리 「춘향가」 중 당시 관객들이 선호했던 장면을 조합하여 노래로 만든 조선 시대 후기 십이 잡가의 하나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춘향가」의 대목은 춘향과 몽룡이 만나는 장면과 몽룡과 헤어진 후 춘향이 슬퍼하는 장면인데, 이 작품에서는 논리적 연관성 없이 이러한 장면을 축약, 변형, 확대하여 편집하는 방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춘향가」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 고공가(허전)-해설(2019학년도 수능완성) 이 작품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 직후에 허전이 쓴 노래로, 국사 (國事)를 한 집안의 농사일에 비유하여, 정사에 힘쓰지 않고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관리들을 집안의 게으르고 어리석은 머슴에 빗대어 통렬히 비판하고 있다.
    찜 0 구매 2 2,500원
카카오톡채널